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배고픈레아10
배고픈레아1023.04.04

현재 대한민국이 불경기 인가요?

자영업자입니다.요즘 코로나때보다 불경기가 심하게 느껴집니다.손님도 많이 줄었고요

저만 그런건가요? 아님 대한민국이 불경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높은 물가 수준과 고금리로 인해서 소비자들의 지갑이 매우 얇아진 상황이며, 중소기업들의 경우는 대기업의 매출이 감소하게 되자 일감이 크게 줄어든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자 이자부담 증가로 인해서 직원들에 대한 해고가 많아지고 있어서 실업률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상황을 감안한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은 코로나 당시보다 더욱 심각한 불경기 상황에 빠진 상태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돌이켜보면 경제가 좋았던 기억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 기조로 인해 우리 나라는 경기가 둔화되고 있는 국면입니다.
    높은 금리로 인해 실제 가계 소비 여력이 줄어 들어서 경기가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들 대부분

    불경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성장률도 줄어들고 있으며 우리나라 수지도 줄어드는 등

    불경기라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발표한 ‘2023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불황 국면에서는 고용불안이 확대되면서 상대적으로 취약계층의 소득이 급감하고 고금리 충격으로 이자 부담이 가중되면서 사회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대한민국을 포함해서 세계 각국이 사실상 불경기 국면이며, 경기 침체 리스크가 커지게 되면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내리게 될 것인데 이렇게 되면 어느정도 불경기 국면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치적으로 해석하기엔 무리인것이 코로나시기에는 반도체활황으로 인해 GDP라든가 각종 수치들이 호경기를 나타내었지만 민간경제는 힘들었고 현재는 코로나가 호전됨에 따라 민간경제가 서서히 좋아지고 있는중인데 반도체 등 산업여파로 수치는 안좋은 상황입니다.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배달업종은 구매가 줄었고 오프라인은 늘어난 상황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출경기가 위축되어 가고 금리인상으로 대출상환여력이 줄어들고 소비가 위축된경향이 보입니다.잠깐으로 끝날문제가 아니고 원자재가격급등등 좋지않은 미래가 눈앞에 보이는듯합니다. 반면 여행경기는 풀려가면서 이또한 외환보유액을 즐여나가는 문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최근 몇 년간 대한민국 경제는 수출 중심의 성장모델에서 벗어나 국내소비를 촉진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부동산거품이 내려가고, 금리상승등 여러 문제가 다가오고 있는상황으로 많은 변수를 안고 있기에 이런상황은 계속되리라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낮은 실업률을 유지하고 있으나 경제성장률이 1%대 초반으로 낮아 상대적으로 경기가 좋다고는 말씀드릴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밖에 나가보면 사람들로 꽉꽉차있습니다

    백화점은 당연하고요 주요한 핫플레이스들은 줄서서 기다리죠

    고금리 고물가는 서민들에게만 부담이죠

    반대로 금리가 올라가면 돈있는 사람들에게는 이득입니다

    계란한판에 10만원이 된다고 해도 살 사람 많습니다

    저도 부업으로 온라인판매하는데요 소자본으로 시작한 생필품 종목이라그런지

    거의 판매가 없네요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도 경기 불황 혹은 경기 쇠퇴의 초입에 들어가는 중이라고 판단이 되는데요. 비단 한국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경기 불황의 대싸이클이 시작된 것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예측하게 됩니다. 또한 당분간 고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서민이 느끼는 불경기는 더 심각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률은 80-90년대 보다 훨씬 줄어들 것입니다.

    앞으로 은행에 예금을 넣어 돈 버는 시대는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예금금리가 바짝 높아 졌지만

    예금 및 대출금리를 계속 높게 유지하지 못할 것 입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지금 이런 상황이 상당기간 유지 될 것이고

    거기에 대비를 해야합니다. 현금 확보를 우선적으로 하고

    자산가치가 하락한 부동산이나 돈이 나올 수 있는 캐시카우를 형성해 나가시는 것이

    현명한 것 같습니다. 불경기에 고물가에 고금리에 힘든 시기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대한민국 경제는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되었습니다. 한국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경제적 충격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경제가 침체되었습니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성장률이 2023년에 2.7%로 예상되며, 이는 올해의 3.2%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영업자분들께서는 어려운 시기를 겪고 계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불경기를 느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인내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실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4

    안녕하세요.

    전체적인 분위기는 코로나19, 펜데믹을 기점으로 경기가 많이 하락하여 계속 지속되고 있는듯 합니다. 최근에는 마스크해제도 되었고 사람들의 야외활동량도 늘어났기 때문에, 경기가 아직은 살아나지 않았지만, 조금 더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이 되어 글을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