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냉엄한오솔개124
냉엄한오솔개124

전세사기 예방할수있는 방법 뭐가있을까요?

요즘 전세사기가 많이 발생하는데 아파트 전세사기도 있나요? 대부분 빌라에서 발샐하는거같은데..

전세사기를 예방할수 있는 방법 알려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사기는 아파트라고 무조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전세사기 중 깡통전세로 인한 피해는 아파트보다는 빌라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비교시세가 없고 무자본 갭투자등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외 전세계약 후 상환능력이 없는 제3자에게 매도후 보증금을 들고 잠적하거나 하는 사기는 아파트에서도 발생가능한 부분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사기는 임차인이 보증금을 입금한 후 집을 점유하지 못하거나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전세사기는 아파트, 빌라, 원룸 등 모든 종류의 주택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세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전세 계약 전에 건물의 시세와 매매가를 꼼꼼하게 확인합니다. 인근 공인중개사사무소나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등을 통해 시세 및 실거래가를 파악해야 합니다. 시세보다 너무 낮은 전세금은 의심해야 합니다.

      전세 계약 시에 주택도시보증공사 (HUG)의 보증보험에 가입합니다. 보증보험에 가입하면 집이 경매로 넘어가도 보증금을 공사로부터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보증보험 가입 여부는 HUG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세 계약 후에는 반드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합니다. 전입신고를 하면 임차인의 대항력이 생기고, 확정일자를 하면 임대차 계약의 존속기간을 확정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는 주민센터나 인터넷에서 할 수 있고, 확정일자는 등기소에서 할 수 있습니다.

      전세 계약 중에는 잔금일 이전에 등기부등본을 직접 확인합니다. 등기부등본은 건물의 소유자와 부채 상태를 알 수 있는 서류입니다. 등기부등본은 등기소나 인터넷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전세 계약서에 특약을 넣는 방법이나, 전세 사기 특별법을 참고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전세 계약은 잘못하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으니, 꼼꼼하게 준비하고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빌라나 오피스텔을 새로 지은것들이 전세사기가 많이 일어 났습니다

      아파트는 그래도 전세사기가 잘 일어나지는 않았습니다

      전세들어가셔서 전세보증보험을 들어 놓으시기 바랍니다

      대체적으로 아파트는 집값보다 전세가가 낮은 편이어서 전세보증보험이 들어집니다

      그런식으로 대안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