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파란딱새19
파란딱새19

MRI 판독결과, 사진 의견여쭙습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43

우연찮은 뇌MRI 검사간 수막종 1.6cm가 진단되었는데 대부분의 대학병원 교수님들이 6~12개월 추적관찰 을 말씀하셨습니다.

판독결과와 사진으로 봤을때 어떻게 해야 할지 의견여쭙습니다.ㅠ.ㅠ

추가로 지금 무엇을 해야할게 있어야 되지는 않은지?

갑자기 사이즈가 커질 우려는 없을지?

  • 1번 째 사진
  • 2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수 차례 동일한 질문을 하시는 것으로 볼 때 질문자님의 불안감이 상당하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많이 걱정스러우시고 무서우시지요. 수막종(meningioma)은 대부분 양성으로, 천천히 자라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수막종은 천천히 자라며, 연간 1-2mm 정도 성장하는 편입니다. 때로는 전혀 자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 종양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고, 무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에는 크기가 1.6cm로 작은 편이라 증상을 나타내기 어려울 것이라 판단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료보신 선생님들께서는 6-12개월 간격을 두고 추적검사를 하자는 의견을 주셨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아마 이미 많이 답변받으셨거나 검색해보셨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불안감이 잘 해소되지 않는 상황으로 보이니,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불안감에 대한 진료를 추가로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수막종은 뇌와 척수를 감싸는 막에 생기는 종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부분 양성이고 진행속도도 느립니다.

    우연히 발견되었고 크기가 작은 상태에서 뇌를 압박하는 양상이 없다면 주기적 체크업하여 사이즈의 변화를 볼수 있고, 방사선 치료 또는 방사선수술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향후 치료 계획에 대해서는 담당 주치의와 상담하실것 권유드려요.

  • 대학병원 교수님들은 해당 분야의 굉장히 오래된 경력의 전문가로 그 분들이 6-12개월 추척관찰을 하자고 했으면 그렇게 따르시면 될거 같습니다. 커질지 안커질지는 사실 아무도 모르는것이구요 지금 당장 할수있는 일은 없는거 같습니다. 너무 크게 걱정하지 마시고 의사의 조언에 따라 편한 마음으로 경과 관찰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감사합니다

  • 다른 교수님들이 이야기해주신것처럼 추적관찰만 잘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수막종은 양성종양이고 뇌실질을 침범하지 않기 때문에 증상이 생기려면 매우 커져서 눌렀을때만 증상이 생기겠습니다.

    주먹만큼 커진 뇌수막종이 있는데도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크기가 빠르게 커지지는 않으니 6-12개월 주기로 추적관찰만 잘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지금 더 커지지 않게 따로 할 수 있는건 없겠습니다.

  • MRI 판독 결과에 따르면, 오른쪽 천막부위에 약 1.6cm 크기의 이질적으로 조영되는 외축성 종괴 병변, 즉 수막종이 발견되었으나, 혈관이나 신경구조를 침범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양쪽 대뇌 반구, 뇌간, 소뇌, 외축 공간에는 출혈이나 중양, 허혈성 병변이 없으며, 뇌 위축이나 수두증도 없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대체로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평가됩니다. 수막종은 대개 천천히 성장하는 양성 종양으로, 현재 대부분의 대학병원 교수님들이 6~12개월 간격으로 추적 관찰을 권장한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입니다. 갑자기 크기가 커질 가능성은 낮지만, 드물게 급격히 성장하거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지금으로서는 급한 치료나 조치는 필요하지 않지만, 정기적으로 MRI 검사를 통해 종양의 크기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두통, 시야 변화, 운동 이상 등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면 신경외과를 방문하여 상담받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단계에서는 특별히 취해야 할 조치가 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아하 플랫폼의 특성한 답변이 다소 일반론적일수밖에는 없습니다. 이런형식의 답변보다, 현재 질문자분의 상태를 가장 정확히 알고 있고 전문적인 식견으로 의견을 주시는 신경외과 주치의의 플랜을 잘 따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