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저출산으로 인해 20년 뒤에는 경제가 안좋아 질까요?
요즘 젊은 사람들이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해서 아기를 많이 출산 해야 나라 경제도 살아 난다고 하는데
젊은 신혼 부부들이 결혼은 해도 아기는 낳지 않겠다고 합니다. 그만큼 예전에 비해 아이를 출산하는 비율이
상당히 낮아 졌는데요. 만약 저출산으로 20년 후에는 노인들이 많아지고 젊은 사람들이 없으면 일할 사람이 많이 줄어 들기 때문에 나라 경제도 안좋아 지지 않을까요? 다들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는 결국 세금을 내는 이는 감소하게 되고 연금을 수령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추가로 국민연금에 대한 세율이 증가하게 되어 소비침체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
게다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지하자원이 없는 국가로서 인적자원으로서 발전을 하고 외수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데 인구가 감소하게 되면 인적자원은 감소하게 되며 내수경제 규모가 축소됨에 따라서 다른 국가들과의 교섭에서도 열위를 차지하게 되면서 경제 규모는 점차적으로 축소가 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일반적인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내용이 질문자님께서 하신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저출산으로 인해 향후 경제적인 상황이 나빠지고 우리나라의 세계 경쟁력이 많이 뒤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피할 수 없는 결과라고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우리는 가만히 있을 것이 아니라 부족한 인구를 보충할 수 있는 여러 기술 특히 AI나 반도체와 같이 세계에서 인정받을 수 있고 특히 노동력을 대신할 수 있는 로봇과 같은 기술을 발전을 많이 시킨다면 우리가 현재 우려하고 있는 만큼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저출산의 문제는 잘못된 것이며 우리 정부에서 그리고 우리 국민 모두가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 해야 할 문제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20년 후에는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력 문제도 붉어질 수도 있고 고령인구에 대한 부양문제도 사회적 문제가 될 가능성도 있으며 경제에 있어서도 보다 좋지 않은 상황이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빈부격차가 더 커질것으로 보입니다 동네 점포들이 문을 닫고 지금 동네에 보면 모두 gs cu 세븐인거처럼 모두 프랜차이즈화 되어 있으니 시세를 조종하고 서로 경쟁하거나 서로 올리거나 하겠죠 또 망하는 대형회사도 있을수 있고요
대기업만 살아남고 기업이 노인을 쓸일도 없고 외국인들을 값싸게 비정규직으로 뽑아 계속 반복될거로 보입니다
저출산이든 말건 관심없죠 비정규직으로 부리기만 하면 되니까
저출산 문제는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출산율의 하락은 한국 사회의 인구 구조를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미래에도 계속해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고령화로 인한 사회 및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저출산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심각한 경제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출산율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구구조가 노인화 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부문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1. 노동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 출산율의 하락으로 미래에는 노동력 수급이 감소 하게 되어 기업들이 적절한 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는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2. 사회적 보건과 복지에 영향: 출산율의 감소로 노인 인구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노인 건강 관리 및 복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 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가 및 지방 정부의 사회복지 예산을 증가시키고 재정 부담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3. 소비 패턴과 경제 성장에도 영향: 출산율의 하락은 가구당 소비량을 줄이는 결과 를 가져옵니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가구의 소비는 유아용품, 교육비 등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출산율의 감소로 이러한 소비가 줄어들면서 경제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는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출산율의 상승과 노동 시장의 안정성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전문가 입니다.
아무래도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와 생산가능인구감소에 따라 고부가가치산업이 발전되지 않는이상 경기침체는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인구구조에 따른 적절한 산업구조 개편과 경제정책이 미리 대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네 지금 추세가 유지된다면 20년뒤에 경제가 안좋아질 확율은 100% 입니다. 성장 동력 자체가 낮아져서 경제 성장 자체가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로봇 산업과 AI가 발전되어 현재 일자리를 대부분 대체 가능한 시대가 온다면 상황은 바뀔수가 있습니다.
저출산 문제는 장기적으로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인구 감소로 노동력 부족 현상이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또한 노인 인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연금과 건강 관리에 지출이 증가할 것입니다. 이런 변화는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고 재정 부담을 가중시키는데 젊은 세대의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정책 지원과 지혜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가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 이유는 나라의 자산이 경제 발전 보다 노인 부양 쪽에 더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세금도 기존보다 더 필요할 것이지만 세금이 생산적인 곳에 쓰이기 보다 복지에 더 많이 사용이 되고 젊은 세대는
더 살기 어려워지는 구조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젊은 인구가 줄어들면서 국방력에도 빈틈이 생기고 이를 메꾸기 위한 자본이 더 투입될 것입니다.
결국 국가의 발전이 걱정이라기 보다는 현상유지도 힘에 붙일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20년 후에는 생산가능 인구가 많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경제성장이 어려워 질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AI나 로봇 등이 발달하게 되면 생산인구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으므로 무조건 경제가 안좋아진다고 보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당연하게 현재 저출산유지하면서 20년이 지나면 지금보다 우리나라 경제는 더더 안좋아지겠죠 경제활동할 사람이 적고 내수시장은 지금보다 작아지고 시장이 작아지니 세수부족으로 나라도 국민도 더욱 살기 힘든 세상이 올듯 합니다
✅️ 아닙니다. 경제의 활력은 저하될 수 있으나(저출산 고령화로 인해서) 사람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인건비가 올라가 개개인의 삶은 조금 더 나아질 것이며, 실제로 인구가 1,000만이 안되는 나라들 중에서 우리나라보다 1인당 GDP가 높은 나라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인구가 줄어들어서 경제가 안좋아질 것이다라는 것은 기우라 할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저출산으로 인해 20년 뒤의 경제가 안 좋아 질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1년에 출산하는 아이들 수가 2-30만명 내외입니다.
20년 뒤에 이 아이들이 20살이 되는 것으로
대학만 보더라도 지금 대학들 중에서 3/5은 폐교해야 되는 일입니다.
20년은 커녕 10년 뒤만 하더라도 경제 여러 분야에서 삐그덕 거리고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