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행성들도 수성형 행성과 지구형 행성으로 나눠지던데 어떤 차이로 나누는 건가요?

행성들의 분류를 보면

수성형 행성과 지구형 행성으로 나누던데

수성형 행성과 지구형 행성은 어떤 것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것인가요?

분류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행성을 구분할 때 나누는 기준은 물리적 특성과 궤도입니다.

    궤도를 기준으로 할 때는 지구보다 안쪽을 공전하는 내행성과 바깥쪽 궤도를 공전하는 외행성으로 구분하며, 지구는 어디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물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구분할 때는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행성의 이름을 따서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구분합니다.

    목성형 행성은 지구형 행성에 비해 크기와 질량이 크고 위성도 많습니다. 구성물질은 수소, 헬륨, 메탄 등 가벼운 물질이며 지구형에 비해 밀도가 작습니다(일반적으로 2 이하). 밀도가 가장 작은 토성의 경우 약 0.9로 얼음과 비슷합니다. 지구형 행성은 밀도가 3 이상이며, 단단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암석형 행성이라고 합니다. 목성형은 단단한 표면이 없는 기체형 행성입니다.

    지구형 행성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있으며, 목성형 행성에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습니다. 자구형 행성은 목성형 행성에 비해 안쪽 궤도를 공전하는데, 이것은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행성들이 함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태양풍에 의해 가벼운 물질들이 먼 곳으로 밀려났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ㅣ다.

  • 지구형행성과 목성형 행성의 차이는 태양과 가까운 지역인지, 밀도의 차이가 어떤지, 크기가 크고 작은지, 표면이 고체인지 기체인지, 대기가 있는지 없는지, 위성의 갯수가 몇개인지, 고리가 있는지 등을 기준으로 나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