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인하가 사실상 확정인건가요?
미국의 금리인하가 사실상 확정인건가요?
채권가격이 엄청 상승을 하였던데 그 원인은 무엇인가요?
금리 인하가 확정이 되었다는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 인하는 연준의 공식 발표전까지 확정이라 할 수 없지만 채권 가격 급등은 시장이 인하 가능성을 강하게 반영한 결과 입니다.
다만 고용, 물가지표 결과에 따라 인하시점과 폭은 달라질 수 있어 확정적이라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번주 고용지표가 나오고 사실상 확정되었습니다 7만명이 넘게 예상하였으나 2만명수준으로 대폭떨어졌고 이로인해서 경기침체이슈까지 발생하면서 증시가 확오르지 못했던것입니다
반대로 이로인해서 월가에선 사실상 100프로로 확정하는것으로 보고있고 이 지표가 장기물까지 강하게 하락하였고 향후 장기기대인플레이션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본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파월이 잭슨홀 미팅에서 어느정도 인정을 했기 때문에 현재 기준으로는
미국의 금리인하가 기정 사실화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그 금리 인하 시기와 폭이 문제인데 일각에서는 25BP가 아닌 빅컷으로
50BP까지 한 번에 내릴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9월 18일로 예정된 fomc 회의에서 미국은 0.25프로 기준금리 인하가 거의 확실시 되는 상황입니다
지난주 고용지표가 안 좋게 나오면서 9월 10월 연속 인하도 일부 예상하고 있는게 미국 경제전문가들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최근 미국 주요 금융기관들은 2025년 중 두 차례 이상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준은 여전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언제 얼마나 금리를 인하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채권 가격의 상승은 바로 이러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때문입니다. 금리와 채권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채권 가격이 상승합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이자율이 더 높아지므로 기존 채권의 매력이 떨어져 가격이 하락합니다.
따라서 최근 채권 가격이 상승한 것은 투자자들이 향후 금리가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고, 미리 채권을 사들이고 있기때문입니다. 이는 금리 인하가 확정되었다는 의미보다는 시장의 예측과 기대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하의 경우 다음주 있을 fomc 등에서 발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잭슨홀 미팅 등에서 언급을 해준것 처럼 금리는 인하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현재 논의가 되고 잇는 것은 약금리 인하를 할 것인지, 강금리 인하를 할 것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제 생각에는 약 금리 인하로 금리 변동을 마감하고 뒷 상황을 지켜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국내의 기준금리 변동은 바로 되지 않고 시간이 걸립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연준이 금리인하가능성에 대한 원인은 미국의8월고용지표악화에 따른것으로 이번에 채권가격이나 주식시장상승도 이에따른 영향을 받은 상황이라고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얘기 나오면 늘 시장이 먼저 들썩입니다. 최근 채권 가격이 오른 건 맞습니다. 그게 곧바로 금리 인하가 확정됐다는 뜻은 아니라고 합니다. 채권은 금리랑 반대로 움직이는데, 시장 참여자들이 연준이 조만간 인하 쪽으로 기울 거라 기대하니까 미리 사두는 흐름이 강해진 겁니다. 다만 연준은 경제 지표를 보면서 마지막 순간까지 신중하게 움직이는 성향이라 확정이라고 말하기는 이릅니다. 지금까지는 물가 둔화와 경기 둔화 신호를 근거로 시장이 앞서 반응한 거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금리 인하가 사실상 확정된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사실상 확정이란 것은 없습니다.
그런 분위기, 그럴 가능성이 높은 것 뿐이지
아직 확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상 확정까진 아니고 매우 높은 확률로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채권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란 전망에 따라서 채권금리도 내려갔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