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검은까치259
검은까치25922.03.21

개미 투자자로서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많이 낮나요?

최근에 코인에 눈을 뜬 이른바 코린이 입니다. 월급만으로 돈을 많이 모으기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시작했는데, 주변 이야기를 들어보면 주식이나 코인으로 성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였습니다. 코인 관련된 차트도 공부하고 뉴스도 많이 보면서 투자하면 성공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잃을 가능성이 크니 들던 적금에 마저 붓는 게 나을지, 어떻게 할지 모르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불가능한건 절대 아니지만 가능성이 낮은건 사실입니다. 지금의 코린이 상태로는 돈 버는 것이 힘들고 차트를 공부하고 뉴스도 많이 본다고 수익이 보장되는 것도 아닙니다. 정말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충분한 경험이 쌓여야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노력과 돈을 잃을 각오가 단단하게 준비되어 있다면 시작해서 열심히 해보시고 그렇지 않으면 적금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보았을때 개미 주식투자자의 성공확률을 낮아보입니다.

    그 이유는 주식투자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투자를 하고, 손해가 났을 때 이를 장기간 버틸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재작년과 작년의 주식호황을 보고 진입하신 많은 투자자분들이 작년 말부터 시작된 주식시장의 불황장을 이겨내지 못하고 투자 손실로 주식투자를 마무리하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현재 국내외 정세 자체가 미국의 테이퍼링, 금리인상 우리나라의 금리인상, 양적긴축 등으로 주식 등 자산가격에는 악영향이 미칠 요소들이 존재하오니 투자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어려운 기간들이 있더라도 이를 버텨내는 인내력과 자산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주식은 기본적&기술적분석이 모두 필요합니다.

    기본적 분석 (fundamental analysis)은 기업의 재무제표, 건전성, 경영, 경쟁우위성, 경쟁상대, 시장 등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선물이나 환율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경제, 금리, 제품, 임금, 기업 경영의 전반적인 상황에 주목합니다.

    코인의 경우에는 해당 코인의 백서 등을 통해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주식 시장을 비롯한 금융 시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법 가운데 하나로서 주로 시세 동향 그래프(차트)를 이용해 분석합니다.

    마지막으로 주식투자를 하실때에는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투자자는 본인의 선호에 따라 투자 목적에 부합하는 여러 투자대상을 소유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여러 투자자산의 집합을 포트폴리오라고 합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자산이 많아질수록 위험은 줄어듭니다. 하지만 자산을 무한대로 증가시켜도 줄어들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무리 효율적으로 분산 투자하여도 위험을 평균공분산 이하로는 감소시킬 수 없습니다.

    비체계적 위험: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로 제거할 수 있는 위험(분산 가능한 위험, 기업 고유의 위험)입니다. 종업원의 파업, 법적 문제, 판매의 부진 등 개별주식을 발행하는 기업의 특수한 상황과 관련됩니다. 기업의 특수사정으로 인한 위험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분산투자를 함으로써 위험 제거 가능합니다.

    체계적 위험: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로 제거할 수 없는 위험(분산 불능 위험, 시장위험)입니다.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이자율의 변화 등 여러 기업들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경기와 관련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 서울대나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엄청난 공부등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듯이 주식등 투자도 만찬가지입니다.,운도 있어야겠지만

    기본 실력과 경험이 뒷받침되어야하는데 대부분 이를 행하지 않고 쉽게 돈을 벌려는 욕심이 앞서 대부분 실패를 하기 마련입니다.

    어쩌다 한두번 운으로 벌수는 있겠으나 결국에는 손실등 빛만 남게됩니다.

    또 개인 성향에 따라서도 다릅니다.본인이 판단할때 열심히 공부하고,경험쌓고 이런 부분에 자산이 있는지 부터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6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국내 투자자들이 지난 1년간 평균 14%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억원을 투자한 경우 1년 만에 1400만원을 날린 셈입니이다. ‘동학개미’나 ‘서학개미’가 사들인 순매수 상위 종목 대부분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그만큼 자산이 쪼그라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