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김치샐러드
김치샐러드23.12.10

아이들이 혼내기만 하면 너무 자주 울어요

저희 아이들이 잘못한게 있어서 가볍게 혼내기만 해도 다른 아이들이랑 다르게 너무 자주 오는데요 저도 너무 당황스러워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1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잘못했을 때 훈육을 하면 아이들이 울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ㅁㅁ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해줍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향은 다 다릅니다. 다른아이들과 비교하지말고 우리아이의 성향에 맞게 육아를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혼이나는것에 대해서 두려움을 느껴서 그럴수도 있으며

    혼이나는 것이 감정적으로 불안감이 느껴져서 그럴수있습니다.

    이럴땐 아이를 혼을 내는것은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수정하고 바르게 하기 위함을 설명하고

    아이를 싫어하거나 화가나서 그런것이 아님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주 잘못을 저지르면 혼내기 전 차분하게 상황을 이해하고 파악한 후 이유를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올바르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느끼도록 도와주세요. 이 과정에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우는건 상황을벗어나기위해서그럴수도있답니다.

    아이가울때 기다리고울음이끝난후단호하게훈육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우는 것도 습관화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울음에 크게 반응을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에게 혼낼 때 아이가 울면, 되도록 혼을 내기 보다는 설득하고 이해를 시켜야 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기질이 여리기 때문 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울음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인데요.

    이와 같은 방법은 옳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이 운다면 단호하게 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면서 왜 우는 것이 좋지 않은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울지 않고 언어로 또박또박 자신의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시켜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울 때 화내거나 다그치기 보다는 눈물을 그치고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것이 좋아요. 아이가 울 때 계속 그치도록 재촉하기보다는 2~3분씩 기다려주면서 계속 울면 엄마가 마음을 알 수 없어. 네 마음을 말로 표현해주면 좋겠어.라고 말해주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타고난 성향이 내성적이거나 순한 아이일 경향이 큽니다.

    이경우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훈육의 방식을 달리 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성장하면서 우는 횟수가 점차 줄어들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에게 혼이 났을 때 눈물을 흘리면 부모님이 혼내는 걸 멈추거나 그 시간을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이 우는 것은 긍정적이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이 울지 않게 화를 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바로 화를 내지 말고 아이가 진정되거나 아이가 자신의 잘못을 이야기 할 수 있게 시간과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