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성교육은 뭐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성교육은 아기 때부터 시작하는 거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고민입니다. 지금 30개월 된 여자아이에겐 뭐부터 가르쳐주면 될까요? 신체 명칭과 몸의 소중함 같은 것도 성교육에 포함되는 거죠?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성교육은 아이가 이해할수있는 수준인 4~5세때부터 하는게좋습니다.
정확한 신체용어를 설명하되 성교육동화등을 아울러 같이 보면서 학습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교육 관련 동화책을 이용해서 나의 몸 알기 및 신체 명칭 알기, 내 몸의 소중함, 내 몸을 지키는 방법 등에 대해 먼저 시작하시면 됩니다.
성교육의 적기는 아이가 성에 관심을 가지고 질문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시작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시절에 성에 대해 교육을 받지 못한 부모들은 자녀의 성에 대해 대화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성교육은 아기때부터 시작하며 신체의 명칭과 몸의 소중함을 가르쳐 주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신의 신체에 대해서 아끼는것 그리고 타인이 자신의 신체를 만지거나 할때 안돼라고 이야기하고
거부할수있는 정도에 대해서 교육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이맘때 아이들이 남녀의 차이나 신체적 특징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나이이기에 정확한 명칭을 알려주시고 차이를 인지시켜주시는 것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특히 소중한 부위는 별명보다는 정식명칭으로 알려주시면서 나의 몸은 누가 보거나 만져서는 안되고 다른 사람의 것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일일이 말로 설명하기 어려우시다면 요즘 소전집으로 성교육동화가 잘 나와있으니 그림책을 통해 교육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이들에게 성교육은 자신의 성과 다른 성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시기에는 목욕을 한 뒤 거울을 보면서 신체의 이름을 하나 하나씩 정확한 용어로 알려주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성교육 관련 동화책을 아이와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교육을 시작 하는 시기는 남녀간의 차이에 대해 관심이 많아졌을 때 자연스럽게 4세경에 시작하면 괜찮을 것 같아요
글의 내용대로 자신의 신체의 명칭에 대해서도 정확한 용어로 알려 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0개월 아기에게 가장 먼저 해줘야 할 성교육은 나와 내 친구의 소중한 몸입니다.
내 몸은 소중하며 나 스스로도 함부로 만지면 안되고 그 누구도 내 몸을 만지거나 보거나 보게 해서도 안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내 몸이 소중하듯 내 친구의 몸도 소중하다는 것도 알려주세요.
나의 몸 명칭과 그 기능까지 알려준다면 내 몸을 더 소중하게 여길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성교육을 할 때
남녀의 신체적 차이와 생각적인 차이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성적인 불쾌감을
주는 행동을 반드시 거부해야함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네.
신체명칭과 몸의 소중함도 성교육에 포함되며
남녀의 차이와 자기 자신의 신체를 보호해야하는 법을
가르치시길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교육의 기본 목표는 나의 몸을 소중히 여기고 타인의 몸을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성교육을 해주실때는 신체의 명칭을 제대로 알려주시고, 그 신체기관의 하는 역할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알려주셔야 합니다,
성교육에 대해 설명하시기 막막하시다면 성교육 동화나 영상을 아이와 함께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여자와 남자의 몸이 이렇게 다르다는 것을 알려주시고 소중한 내 몸을 누군가 함부로 만지려고 한다면 의사를 분명하게 표현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만 2~3세가 되면 자기 몸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해요.
이 시기에는 목욕한 뒤 거울을 보며 신체 이름을 하나씩 정확하게 알려주는 게 좋아요.
아이가 아직 어리면 유아적 언어를 사용하는 게 무방하지만 늦어도 6~7세 무렵에는 올바른 명칭을 가르쳐주는게 좋구요.
음경, 고환, 음순, 질, 자궁 등을 정확히 알려주세요. 몇 번 사용하다 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정확한 명칭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함께 보면서 사랑과 탄생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교육을 시작하는 게 좋아요.
특히 만 3세 무렵은 자신의 몸에 관심이 커지는 시기예요. 이때 성교육을 하면 자아 인식과 자존감 형성도 도울 수 있어요.
특히 성기 모양이나 남녀 차이를 설명할 때 그림을 보여주면 아이가 이해하기 쉬워요.
5세 이상부터는 아이가 엄마는 여자고 아빠는 남자라는 것을 깨달아요. 이때는 이성보다 동성 친구를 더 선호하는 경향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성교육을 하기 가장 적절한 시기는 3세 이상부터입니다.
너무 이른나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르면 이를수록 좋다고 합니다.
성교육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아이가 자신의 신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알아가며 소중함을 느끼는 것이 성교육의 시작점이 됩니다. 관련 동영상이나 책
등을 통해 설명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원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아빠와 목욕하기를 시도해보시는것은 어떠신지요^^함께 목욕을 하기 시작하면 굉장히 자연스럽고 서로의 사랑도 느낄 수 있어서 좋습니다. 그리고 차차 아이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아버님은 옷을 가볍게 입으시고 가릴부분 가리고 목욕을 진행해주시면 자연스럽게 성교육이 된다고 합니다. 질문을 아이가 한다면 남자와 여자의 차이점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