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공임대주택 분양전환 진행 중 임대차계약을 하는 경우도 있나요?
상황: 월세 아파트 찾는 중, 가격+조건 좋은 집 발견
이슈: 공공임대 -> 분양전환 중, 임대인이 대출 받아서 소유권 이전 예정
변수:
• 대출 미승인 가능
• 소유권 이전 지연 가능 -> 전입신고 못 하는 집에 입주해야 하는 상황 발생
안전장치:
• 잔금은 분양완료/소유권 이전 후 지불
• 분양 실패 시 계약금 두배 반환 조항 명시 (계약금이 크진 않음)
불안요소:
• 계약/입주 하는 날 기준 입대인이 집을 소유하고 있지 않음
• 위 경우 계약금 반환 조항의 법적 효력 의문
• 이삿날에 갈 집이 없을 위험
위와같이 집주인이 아진 사람 (분양 예정자)와 임대차계약을 하는 경우에 법적 효력이 있을까요?
담당 공인중개사 말씀하기론 이런 형태의 계약이 흔하고 안전하다고 하는데 검색해봐서는 전례를 찾을 수 없네요.
LH와 명의자의 가계약서로 신원 확인을 하면 충분할까요??
계약금 두배 반환 조항의 실효력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분양전환에 대해 임대인이 그권리를 갖고있는지 확인하셔야하고 만약 계약서대로 이행이되지 않는다면 임대인의 과실이기 때문에 배액상환은 당연한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