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가 상장폐지 되는 조건이 있나요?
요즘은 주변에서도 ETF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비교적 주식보다 안전하다는 인식도 있는데 ETF가 상장폐지 되는 조건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상장 폐지되는 조건으로는 거래량이 부족하거나 ETF의 자산이 일정수준 이하로 감소하면 가능할수 있습니다.
또한, 상장 규정을 위반하거나 운용사가 ETF의 운영을 중단하거나 합병을 결정하는 경우도 동일합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ETF가 상장폐지 되는 조건으로는 지속적인 거래량 감소, 기초 자산의 거래소 상장 폐지, 운용사가 상장 유지에 필요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해당 ETF의 자산 규모가 너무 적어지면 상장폐지가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상장폐지 요건은 상관계수, 유동성공급계약, 상장규모, 신고의무, 투자신탁 해지, 투자자보호 등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상장폐지가 되어도 추종자산 가격대로 돌려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주식
상장폐지 보다는 리스크가 적습니다
따라서 상장폐지 요건도 일반 주식과는 다른데 먼저 거래량이 너무 적고 시가총액이 작으면
상장폐지 대상이 되고 자산운용사 자체적으로 운용 대비 효율이 안나올 경우 상장폐지를 진행합니다.
감사합니다.
ETF도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상장폐지가 될 수 있습니다.
ETF의 순자산가치(NAV)가 일정 기준 이하로 하락하면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순자산가치가 10억 원 이하로 일정 기간 지속되면 해당 요건에 해당합니다.
또한, ETF의 거래량이 극히 적어 유동성이 부족할 경우 시장에서의 기능을 상실했다고 판단되어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가 폐지되거나 더 이상 산출되지 않을 경우에도 운용이 어려워 상장폐지가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운용사가 전략적 또는 경제적 이유로 ETF 운용을 중단할 경우 상장폐지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ETF 역시도 해당 운용사가 자진해서 상폐를 시킬 수도 있고, 괴리율이 지나치게 벌어진다거나, 해당 ETF가 추종하는 지수 자체가 없어진다거나 하는 경우 상폐가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상장폐지 조건은 순자산총액이 50억 이하로 1개월 이상 유지되거나, LP 역할이 심각할 정도로 부족한 경우, 순자산가치와 기초지수의 추적오차 또는 가격괴리율이 오랫동안 큰 경우 상장폐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