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자산관리 이미지
자산관리경제
자산관리 이미지
자산관리경제
타무르
타무르24.05.14

다큐를 보고 돈에 대해서 궁금해졌는데요. 돈의 얼굴 보셨나요?

나이
22
성별
여성

다큐를 보고 돈에 대해서 궁금해졌는데요. 돈의 얼굴 보셨나요? 지급준비금이라고 10%를 은행에 예치해두고 있는데요. 미국에는 그마져도 없어졌다고 합니다. 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미국에서 지급준비율을 낮추게 된 계기라고 본다면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면서 화폐 유동성 공급의 감소로 인해서 급격한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다 보니 금리인상과 더불어서 지급준비율은 낮추어서 은행의 부실화를 막으려고 했다고 보시면 좋아요


  • 미국에서는 예금은행이나 상업 은행이 지급 준비 금을 보유하는 제도가 없습니다.

    연준은 상업 은행들에 대한 예치 요구를 조절하여 금리를 조절하고 경제를 안정시키는데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가 침체 상태에 있을 때, 연준은 예치 요구를 낮춰서 은행들이 대출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반대로, 고령이나 인플레이션이 급속히 상승할 때는 예치 요구를 높여서 돈의 유통을 제한하고 경제 확장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현재 미국의 금융 시스템에서는 예금은행이나 상업 은행이 일정 금액을 예치해두고 있는 지급 준비 금 제도가 아니라, 연준의 예치 요구와 관련된 금리 정책을 통해 경제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 질문해주신 지급준비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은행은 지급준비금 퍼센티지를 통해서 시중의 유동성을 조정하게 되는데

    지급준비금을 아예 없애버리면 그 만큼의 현금이

    시중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했을 것입니다.


  • 아무래도 지급준비율이 낮다면 시중의 경기가 살아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이에 따라서 시중의 통화를 플어 경제를 살릴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등 하여 미국의 지급준비율이 낮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급준비율은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중 중앙은행에 예치해두어야하는 비율을 의미하는데, 지급준비율이 낮아지면 은행이 대출을 운용할 수 있는 자금이 늘어나므로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증가하게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감소하게 됩니다.

    미국에서 이러한 지급준비율마저 없어지게 된 경우에는 그만큼 은행들의 자금 운용을 자율적으로 맡기고 시장의 자율적인 움직임을 통해서 자산시장을 두는 것이며 또한 경제적인 부양책이 필요할 때에도 그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의 은행들은 예금을 받으면 일정한 비율의 예금을 준비금으로 예치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지급준비율입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은행(Fed)에서 이 지급준비율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현재 Fed는 초과지급준비금이라고 하는 추가적인 준비금을 은행에 예치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이는 법정지급준비금 이상의 금액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현재 미국 은행들의 지급준비율은 0%입니다. 하지만 Fed는 은행들의 초과지급준비금에 일정한 수준의 금리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Fed는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은행의 예금을 인출하거나 기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은행의 지급준비율이 0%인 것은, Fed가 지급준비금 규제를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결과물입니


  • 미국에서 지급준비금 요구율을 제거한 것은 2020년 3월에 결정됐습니다. 이유는 은행 시스템 유동성을 높여 좀 더 효율적인 자금 운용을 위해서입니다. 은행들이 보유해야 할 현금 비율을 낮춰 은행들이 더 많은 돈을 대출해주거나 투자할 수 있게 해서 경제를 더 활성화시키기 위함입니다.


  • 미국에서는 2020년 3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Fed)가 지급준비금을 0%로 설정하면서 지급준비금 제도를 사실상 폐지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동성 확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경제에 큰 충격이 가해졌고, 이로 인해 은행들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지급준비금을 없앴습니다. 이는 은행들이 더 많은 자금을 대출할 수 있게 하여 경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2. 현대적 금융 환경 적응: 지급준비금 제도는 과거의 금융 환경에서 더 잘 맞는 규제였습니다. 현대의 금융 시스템은 다양한 유동성 공급 수단과 금융 상품이 존재하기 때문에, 예전만큼의 지급준비금 비율을 유지할 필요가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기타 정책 도구 강화: 중앙은행은 지급준비금 외에도 다양한 통화정책 도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조정이나 양적 완화(QE) 등의 정책을 통해 경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지급준비금을 없애는 대신, 다른 정책 도구들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경제를 안정화시키고 자금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미국은 2008년 금융 위기를 계기로 지급준비금 제도를 폐지했습니다.

    지급준비금이 금융 시스템의 유연성을 제한하고,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는 주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급준비금 대신 준비자산 요구사항이 도입되었습니다.

    준비자산은 현금, 중앙은행 예금, 유동성이 높은 유가증권 등으로 구성됩니다.

    미국 금융 시스템은 지급준비금 제도 폐지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 위기 발생 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


  • ✅️ 법정 지급준비율을 없애게 되면 사실상 상업은행들이 의무적으로 중앙은행에 예치해야하는 의무가 없어지므로 더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업은행들의 수익성을 고려해서 없앤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