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 시대 18세기 이후 인구지표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조선 시대 18세기 이후부터 인구지표를 통해서 당시 조선인들의 경제적 요건(임금, 자산 등)과 비경제적 요건(신장, 교육수준 등)이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18세기 이후 인구지표를 통해 살펴본 경제적·비경제적 요건의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8세기는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농업 생산력이 향상되면서 경제적으로 비교적 활력이 있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이모작 확대와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로 고용 노동이 늘어나고 일부 농민들이 부를 축적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점차 토지가 대지주에게 집중되면서 소작농이 늘어나고, 임금은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해 실질적인 생활 여건은 개선되지 못했습니다.
19세기로 들어서면서 자연재해와 전염병, 전쟁 등으로 인구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정체되었고, 경제적으로는 빈부격차가 심화되었습니다. 양반층 내에서도 몰락하는 경우가 생겼고, 일반 농민들은 토지를 잃고 더욱 빈곤해졌습니다.
비경제적인 면에서는, 영양 상태와 건강이 전반적으로 악화되며 평균 신장이 낮아졌고, 특히 남성의 경우 병적자료를 통해 그 경향이 확인됩니다. 교육 면에서는 서당과 사설 교육기관이 확산되면서 18세기에는 문해율이 다소 높아졌지만, 19세기에는 사회 혼란 속에 교육 기회가 줄어들고 지역 간 격차가 심해졌습니다.
결과적으로 조선 후기 사회는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생활 수준과 교육 환경에서도 점차 침체되는 흐름을 보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