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영특한독수리54
영특한독수리5423.01.25

우박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하늘에서 어떻게 우박이 생겨나는 것인가요? 공중에서 생긴다면 이미 무거워진 상태니 떨어져야 하는게 아닌가요?

어떻게 얼음이 생길 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5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내부에서 수증기가 냉각되어 얼음결정이 형성되는데요

    이 얼음결정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얼음결정이 커지게되고 우박이 만들어지게 되는것 입니다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고, 결국에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얼면 눈이 되잖아요.

    근데 우박은 급속도로 많은 양의 빗물이 얼면서 내려와 우박이 생기게 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