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중국의 제조 공급망이 약해지면서 세계 어느 곳이 역할을 대체하고 있나요?

과거에는 세계의 많은 제조업이 중국에서 공장을 지어 생산했습니다. 그러나 점차 중국도 첨단 산업을 추구하던데 중국의 제조 공급망이 약해지면서 세계 어느 곳이 역할을 대체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제조 공급망이 약해지면서 그 역할을 대체하고 있는 곳은 주로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그리고 멕시코입니다. 이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이라고 불리며, 중국 외에 다른 국가에도 생산 기지를 분산하여 공급망 위험을 줄이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에서 비로소되었습니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대안으로 꼽힙니다. 낮은 인건비, 안정적인 정치 상황,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 정책 덕분입니다. 특히 섬유, 신발, 전자제품 분야에서 삼성과 나이키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베트남으로 생산 거점을 옮겼습니다.

    인도는 거대한 내수 시장과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잠재력이 매우 높은 국가입니다. 인도는 정부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통해 제조업 육성에 힘쓰고 있으며, 최근에는 애플과 폭스콘 같은 기업들이 아이폰 생산 기지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전엔 뭐든지 다 중국에서 만들던 시절이 있었죠. 값싸고 물량도 크고. 근데 요즘은 인건비도 오르고 규제도 많아지다 보니까 기업들이 조금씩 발 빼는 분위기입니다. 그래서 많이들 가는 데가 베트남이나 인도 같은 나라예요. 특히 전자제품 같은 건 베트남이 꽤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고, 인도는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쪽에서 빠르게 올라오는 중입니다. 멕시코도 북미랑 가깝다는 장점 덕에 미국 업체들이 많이 옮겨갔습니다. 완전히 중국을 대체하진 못했지만 예전처럼 압도적이지는 않고 여기저기 나눠서 역할을 가져가는 흐름으로 보입니다.

  • 중국의 제조 공급망이 약화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은 다른 지역으로 생산기지를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동남아시아(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인도, 멕시코, 중남미 등으로 다변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중국의 제조 공급망이 약해지게 되면 어디에서 그 역할을 대체할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인도가 그 역할을 대체해야 할 것인데

    인도 역시 미국과 분위기가 좋지 못하고

    되려 인도는 중국과 가까워지고 있어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중국의 제조 공급망이

    약해진다면 이에 따라서

    인도 등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국가로

    가장 커보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 의존도를 줄이며 베트남, 인도, 멕시코, 동유럽이 떠오르게 됩니다. 임금,정치, 안정성,FTA 여부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 거점을 다변화하는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지금은 없습니다. 인건비만 싼겐 문제가 아니라 해당국가의 정치안전망과 주변 운송인프라와 협력기업들이 많은지 유통네트워크 어느정도 기본 학력이 있는 인적자본입니다

    이런곳은 동남아의 베트남이 있긴하지만 캐파에서도 매우 부족하고 다른국가는 저런부분이 다 부족하고 그래서 남미나 아프리카가 대안이 안되는것이며 여기는 아예 인력만있지 사실상 갖고 있는 제조설비가 전무합니다

    즉 지금은 대체가능한게 없어서 중국이 공급망이 끊기면서 과거 코로나 이후 21년도부터 물가가 엄청 폭등하고 대란 이슈가 글로벌에서 곳곳 잠시 발생했던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비용상승과 무역긴장으로 제조 공급망 약화됨으로 저비용과 지리리적으로 근접성이 좋은 베트남, 인도(대규모 시장, 정부 지원), 멕시코(근거리 공급, 북미 접근성), 인도네시아·태국 등이 대체 중입니다.

    동남아·남미가 주요 공급망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은 대체국가라기 보다 중국의존증을 벗어나려는 시도가 있는시기같고 여전히 중국의 제조역량은 세계최고수준입니다.다만 이후 베트남,태국등의 동남아 인도등의 국가에서 어느정도의 제조업성장의 기반을 갖출수는 있을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 내 인건비 등 생산비용 상승, 내수 주도 경제구조 전환 등 경제 체질이 빠르게 바뀌고 또한, 미·중 무역전쟁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 네트워크 재편 요구가 커졌는데요. 기업들의 ‘탈중국 움직임’ 과정에서 베트남이 중국을 대체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