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를 예로 들었을 때 미국달러(기준통화) 금리가 한국원 금리보다 낮으면
원달러를 예로 들었을 때 미국달러(기준통화) 금리가 한국원 금리보다 낮으면 선물환율이 현재 현물환율보다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금리는 돈의 가치나 다름없으니 장기적으로봤을 때 원화의 가치가 더 높은 거 아닌가요
그러면 선물환율이 더 떨어져야할거같은데..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의기준금리보다 낮은 경우에는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원화가 강세를 보이게 되면서 달러환율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요. 선물환율이라는 것은 현재를 기준으로 해서 미래의 리스크를 일부 반영하기 때문에 일종의 위험 담보가 가산된다고 보시면 되세요. 선물환이라는 것에 대한 개념은 미래의 일어날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환율을 가지고서 미래의 환율을 픽스 시키는 것이 목적인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원화의 가치가 더 약세를 보이기에 이에 따라서
선물환율이 더 높다는 전망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보통 통상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금리가 미국보다 높은 것이 정상적인 상태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자율 평가이론(Interest Rate parity Theory)를 들어보신적이 있으실겁니다. 기축통화의 금리가 낮고 비기축통화의 금리가 높은 경우, 비기축통화가 저평가되어 선물환율이 현물환율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렇다면 이유가 무엇일까?
- 금리 차이가 난다는 것은 수익률이 어느 한 자산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렇게 되면,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원화 자산을 매입하려 할 것 입니다.
- 이에 따라 원화 수요가 증가하고, 원화 가치는 상승할 것입니다.
결국, 환율의 변화 기대 때문에
- 시장에서는 높은 금리 통화가 장기적으로 가치 상승이 예상되어 현물환율보다 높은 수준에서 선물 환율이 형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