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의 뜻이 무엇이고 이말은 어디에 쓰이는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중학교 다니는 아이에게 거시경제에 대해서 어떻게 알려주고 보통 어떨때쓰이는 말인지 설명을 어떻게 해줘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국가 전체의 경제’를 바라보는 학문입니다. 쉽게 말해, 나무(개인, 기업)가 아니라 숲(국가 전체 경제)을 보는 거라고 말하면 될거 같습니다.
그래서 관련 지표는 한 나라의 경제성장(GDP), 실업자가 얼마나 있는지(실업률),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인플레이션) 등 입니다. 반대로 미시는 개인과 기업니까 한 기업의 가격, 소비자의 행동, 경쟁 이런 것들입니다.
거시경제는 나라 전체의 경제로 일자리, 물가 같은 큰 그림이고, 뉴스에서 ‘경제가 좋다 나쁘다’, ‘물가가 올랐다’ 등 이다.
반대로, 너가 용돈으로 무엇을 살지 고민하거나, 가게 주인이 가격을 정하는 건 미시다. 이런 느낌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라는 단어는 거대하다할때 쓰는 '거'라는 말이 내포되어있습니다.
거대하게 보는 것, 크게 보는 것, 넓게 보는 것, 이런 의미로 '거시'가 쓰이게 되는데,
한 경제를 숲으로 표현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거시경제는 숲 전체를 바라본 경제이고, 또 다른 말인 미시경제는 숲 안의 각 나무들을 바라본 것이 됩니다.
거시경제라는 말은 경제학에서도 쓰이고, 경제시사에서도 사용됩니다.
대표적으로 GDP(국내총생산)이 거시경제 지표라고 불리죠.
뉴스에서 거시경제 악화.. 라는 말이 나오면 우리나라 전체의 경제, GDP, 실업률, 물가 등의 악화가 발생했다는 것이겠네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나라 전체 경제를 다루는 분야로, 경제 성장, 실업률, 물가 상승률 등 나라의 큰 경제 문제를 다룬다고 설명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정부가 경제를 어떻게 관리하고 사람들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면 좋죠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란 '우리나라 전체'라는 큰 그림으로 보는 경제 이야기입니다. 마치 우리가 학교 전체, 또는 우리나라 전체 학생들의 생활이나 성적을 살펴보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반대로 '미시경제'는 '개인의 용돈 관리', '우리 반 친구 한 명의 소비 습관', '특정 회사의 물건 판매'처럼 아주 작고 세부적인 경제 활동을 살펴보는 것을 말합니다. 마치 학교에서 '우리 반'이나 '나' 한명의 생활을 보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올해 우리나라 거시경제 성장률은 몇 퍼센트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나라 전체가 얼마나 빠르게 부자가 되고 있는지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나라의 전체의 돈흐름과 경제를 크게 보는 공부입니다. 나라의 돈이 얼마나 많은지, 사람들이 얼마나 일을 하고 있는지, 나라가 얼마나 부자이고 성장하는 지를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한 나라 전체의 경제 흐름을 다루는 개념으로, 물가, 실업률, 경제 성장률, 국가의 돈의 흐름 같은 큰 규모의 경제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개인이나 기업처럼 작은 단위가 아니라, 나라 전체가 어떻게 돈을 벌고 쓰는지, 경제가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이 용어는 정부가 경제정책을 세울 때, 뉴스에서 경제 상황을 분석할 때, 또는 학교에서 경제를 배울 때 자주 쓰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거나 "실업률이 높아졌다" 같은 이야기를 할 때 거시경제라는 말을 사용한다고 설명해주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거시경제의 뜻에 대한 내용입니다.
거시경제란 한 국가의 경제를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경제학의 분야로
소위 말하는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보라는 것에서
숲을 보는 경제적 분석을 의미합니다.
거시경제는 경제를 하나의 큰 시스템으로 분석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로 주로 국내총생산(GDP), 실업률,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금리, 환율 같은 거대한 경제 지표들을 다루게 됩니다.
국가나 세계 수준에서 경제의 움직임과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로 경제성장, 경기순환, 정부의 재정정책이나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 요소 입니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결정할 때 거시경제 지표를 분석하고,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마련할 때도 거시경제 상황을 고려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거시라는 뜻은 나무 보다 숲을 본다는 개념으로 전체를 아우르는 흐름을 보는 것으로 설명해주시면 좋을 것 같고
그걸 경제에 대입하여 본다면 각종 물가,실업률,수출입 등의 높고 낮음을 통해 현재 경제상황을 일컫는 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즉 현재 거시경제로서 한국의 경제흐름이 어떻게 되는지 현재 a,b,c 상황으로 인하여 전체 경제가 좋은 쪽인지 안 좋은 쪽인지를 판단할 때 쓰는 용어라고 설명해주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국가 전체나 글로벌 경제의 큰 틀 관점에서 경제학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개개인의 하나하나 기업들을 분석하기 보다는 큰 흐름이나 지표 등을 연구합니다.
GDP나 인플레이션 지표, 고용률, 이자, 경제성장율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통해 정부나 중앙은행의 정책 결정에 활용 되기 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미시경제는 경제 주체의 한사람이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경제에 미칠지를 보는것이라면 거시경제는 나라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는것입니다 즉 나라와 국민 경제 전체의 관점으로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크게 정부 가계 기업들의 경제주체들이 상호작용의 결과로 어떤 경제적 현상이 발생하고 이를 토대로 크게 물가나 환율 금리 국제수지나 국민소득 생산성을 보는 학문으로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경제학을 이루는 양대 학문 중 하나로, 나무가 아닌 숲 전체를 보는 개념인데요. 거시경제는 전체 경제의 총생산량 변화, 즉 국민소득의 변화가 주 관심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