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친절한아비58
친절한아비5824.04.18

자는도중에 다리가 발작을 일으켜요

나이
29
성별
여성

잘때만 다리가 발작을 일으켜요 혼자 갑자기 다리가 팍 움직인다거나 경련을 일으키는데 저럴때마다 아파서 깨구요 자고있을때만 저 증상이일어나요..뭐가문젠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몸이 많이 피곤하거나 늦게 주무시면서 수면 시간이 짧은 경우, 칼슘, 마그네슘 등의

    전해질이 부족한 경우 등 다양하게 경련을 유발하게 되는데 주로 REM 수면 중에는

    꿈에서 달리기를 하는 등 움직일 때 무의식 중에 팔, 다리도 움직이면서 경련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자기 전에 이온 음료나 전해질을 보충하고 자는 시간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수면 중 다리에 경련이나 불수의적 움직임이 나타나는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야간 하지 경련(Nocturnal leg cramps)을 들 수 있습니다. 이는 수면 중 갑작스럽게 종아리나 발바닥에 통증을 동반한 근육 수축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흔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탈수, 전해질 불균형, 과도한 운동, 특정 약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리 경련 증상은 하지 불안 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리에 불편한 감각과 함께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증상으로, 특히 가만히 있을 때 심해지고 움직이면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드물지만 수면 중 다리의 불수의적 움직임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주기성 사지 운동증(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신경계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임신,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야간 다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반복되거나 심해진다면 내과 혹은 신경과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필요한 경우 혈액 검사, 수면다원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칭, 따뜻한 물로 다리 마사지하기, 수분 섭취 늘리기 등을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수면 환경을 개선하고, 피로를 줄이기 위한 생활습관 관리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잠을 자는 동안 다리가 갑자기 움직이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증상은 몇 가지 가능한 원인이 있습니다.

    하지불안증후군 (Restless Legs Syndrome, RLS): 이는 잠들기 전이나 휴식 중에 다리에 불편함이나 강렬한 움직임 충동을 느끼는 상태입니다. RLS는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지며, 다리를 움직임으로써 일시적인 안도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기성 사지 운동 장애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PLMD): 이는 수면 중에 반복적으로 다리나 팔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움직임은 흔히 발작적이며, 수면을 방해하여 낮 동안의 피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해질 불균형: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과 같은 전해질의 불균형은 근육 경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수면 중에 다리 경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고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신경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해당 증상만 가지고 정확하게 특정한 질병을 감별 진단내릴 수는 없습니다. 보통 가장 흔한 원인은 하지불안증후군인데, 신경계의 다른 질병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관련하여서는 혹시 모르기 때문에 신경과적으로 진료 및 정밀 검사를 통해서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감별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단순 하지불안증후군 증상이라면 약물 치료를 통해서 많은 호전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