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할때 사점이 되면 우리몸에는 어떤 변화가 생기나요?
유산소 운동으로 달리기를 할때 사점이 와야
숨 쉬기가 편해진다고 하던데요
사점이 발생하면 우리몸에서는 어떤 변화가 오는 건가요?
운동 중 사점이 올 때, 우리 몸은 에너지 공급 체계를 전환하며 중요한 생리적 변화를 겪습니다. 처음 운동을 시작할 때는 산소 공급이 불충분해 무산소 대사가 우세하며, 이로 인해 젖산이 쌓여 숨이 차고 힘들어집니다. 그러나 사점을 넘어서면 몸이 산소 공급을 안정적으로 맞추기 시작하며, 에너지 생성이 주로 유산소 대사로 전환됩니다. 이때 호흡이 규칙적으로 변하고 심박수가 안정되며, 운동이 더 수월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는 근육으로의 산소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져 피로 물질의 축적이 줄어들고 에너지 효율이 개선되기 때문입니다.
사점이란 운동 중 근육이 더 이상 버틸 수 없어 힘이 급격히 떨어지는 지점을 말합니다.
달리기에서는 보통 무릎을 들어 올리는 힘이 약해지고, 발이 땅에 닿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사점이 발생하면 근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글리코겐이 부족해지면서 ATP 생성이 어려워집니다. ATP는 우리 몸의 에너지 통화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부족해지면 근육 수축이 어려워지고 힘이 빠지는 것입니다.
또한 무산소 운동이 강해지면서 젖산이 생성됩니다. 젖산은 근육의 pH를 낮춰 근육 수축을 방해하고,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젖산이 축적되면 몸은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호흡량이 증가하고 호흡이 가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심장은 더 많은 산소를 근육으로 운반하기 위해 빠르게 뛰기 시작합니다.
그럼에도 사점이 오면 숨쉬기가 편해지는 이유는 사점 직후에는 강도를 낮추거나 잠시 휴식을 취하게 되는데, 이때 몸은 젖산을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고 빠르고 얕았던 호흡이 점차 안정되면서 숨쉬기가 편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또한 심장 박동이 점차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심장에 부담이 줄어들고 호흡이 편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쉽게 말하면, 산소 부족입니다. 신체에서 요구하는 산소량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면 산소 부족상태에 이르게 되며 이런 상태를 사점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