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말고 아예 프리랜서로 전향 고민 중인데 현실적인 조언 듣고 싶습니다.
회사 생활하면서 점점 내 전문성을 살려서 자유롭게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커지고 있어요. 특히 기획업무 경험을 살려서 프리랜서로 전향을 해볼까도 고민 중인데 막상 실행하려니 걱정되는 부분이 많더라고요.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안정적인 수입 확보나 고객 발굴, 업무량 조절 등 현실적인 문제들이 궁금합니다. 또 4대 보험이나 퇴직금 같은 혜택이 없어지는 부분은 어떻게 대비하시나요?
세무 처리나 계약서 작성, 클라이언트와의 소통 같은 실무적인 부분도 알고 싶어요. 프리랜서로서 전문성을 어떻게 어필하고, 요금은 어떤 기준으로 책정하는지도 궁금합니다.
프리랜서 생활의 장단점, 그리고 성공적인 프리랜서가 되기 위한 필수 역량이나 준비사항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자유로운 일하기 방식에 대한 꿈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이 많네요.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실질적으로도 프리랜서라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니므로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지 못합니다.
또한,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없고 4대보험 가입이 제한되므로 실업급여를 수급하지 못하는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프리랜서는 자유로운 업무 환경과 높은 수익 가능성을 장점으로 꼽을 수 있지만, 불안정한 소득과 사회 보험 미적용 등 단점도 존재합니다. 선택에 앞서 장단점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장점은 자유로운 업무 환경, 높은 수익 가능성,직장 문화의 획일성에서 벗어날 수 있음 등이 있고
단점은 불안정한 소득, 4대 보험 미적용 등 이 있습니다.
프리랜서 직업은 자유로운 업무 환경과 높은 수익 가능성 등 장점이 있지만, 불안정한 소득, 사회 보험 미적용, 고립감 등 단점도 존재합니다. 프리랜서로 일할지 여부는 자신의 능력, 상황, 목표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프리랜서와 근로자의 가장 큰 차이는 제가 생각하기에는 고객발굴(영업)부터 일의 완성 까지를 모두 책임을 지면서 일을 해야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본연의 업무 외에 행정적인 절차 등도 고민해 보셔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