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중간재를 수출할 경우 최종 완제품 수출국의 규제까지 고려해야 하나요?

중간재는 다른 국가에서 가공되어 재수출 되는 경우가 많아 원산지규정, 수출통제 품목, 전략물자 여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무역기업이 중간재 수출 시 주의해야 할 글로벌 규제의 이슈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중간재를 수출할 때는 단순히 수출만 생각할 게 아니라, 해당 품목이 다른 나라에서 추가로 가공돼 다시 수출될 가능성을 고려해 규제 이슈를 넓게 봐야 합니다. 특히 원산지 규정은 각 나라마다 다르고, 누적기준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어 협정별 기준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또 수출통제 품목이나 전략물자에 해당되면 각국의 통제 목록을 꼼꼼히 확인하고, 사전허가가 필요한 경우는 반드시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일단 최종 수출국에서의 원산지규정 등 관련 규정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국 최종 완제품을 수입하는 국가에서의 규정 준수해야 하기 떄문입니다.

    일단 수출에 대한 주요 이슈는 원산지 규정확인, 전략물자/이중용품목 여부 확인, 공급망 내 각국의 수출제한, 기술유출 방지 등 규제사항 확인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중간재 수출할 땐 그냥 한국에서 나간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그걸 가공해서 어디로 가는지까지 따져야 할 때가 많습니다. 특히 전략물자나 이중용도 품목이면 최종목적지까지 추적해서 수출허가 받는 게 기본이고요, 원산지도 중간재가 핵심 원재료로 들어가면 최종제품의 FTA 혜택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수입국 규정까지 챙겨야 합니다. 또 특정 국가로 넘어가는 순간 제재 대상 될 수도 있어서, 거래처가 중간에 어떻게 사용하고 누구한테 파는지도 진짜 꼼꼼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안 그러면 나중에 우리 기업이 책임지게 되는 일도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1. 원산지판정 기준
      중간재의 경우 원산지 판정은 완제품의 원산지 기준과 별도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떄문에 중간재 생산과정의 사용된 원재료에 따라 원산지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2. 수출 규제 및 수입규제
      수출 시 전략물자 등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수입국의 비관세장벽 등의 수입규제를 사전에 확인하여야 합니다.

    3. 우회수출여부
      중간재 수출이 우회수출 여부 등의 의심을 받을 수 있으므로 원산지판정 등을 사전에 확인하여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