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슬거운노린재43
슬거운노린재4322.07.11

항히스타민제와 통풍약 같이 복용시 부작용이 있을까요?

나이
37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항히스타민제, 통풍약
기저질환

1년전쯤 두드러기가 심해 졸레어주사와 함께 항히스타민제를 복용중입니다. 약은 많이 줄인상태고 두달전 통풍약도 복용중입니다... 점심먹고 통풍약먹고 항헤스타민제는 저녁에 복용합니다. 나름 시간텀을 두고 복용중인데 통풍약 때문인지..최근 탈모가 생겼습니다. (콜킨, 페브릭) 류마내과 의사샘에게 문의해보니 통풍약을 먹고 탈모로 호소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무시할순 없으니 2주동안 약복용 중단권유를 한 상태입니다... 통풍약을 중단해버리면 요산수치가 빠르게 올라갈까 걱정입니다. 최근 일때문에 스트레스를 좀 받은상태이고 주기적으로 미용실 가서 새치염색을 하는 상태인대..그때문에 탈모현상이 잠시 생긴건지..(원래 숱많은 편이고.. 50원 동전크기만한 탈모생김) 통풍약 복용하는 카페회원들 얘기들어보니 탈모 생기는 경우는 처음듣는다던데.. 어찌해야할까요. 지금 이상태에 탈모약까지 복용은 무리일 것 같은데..조언 구합니다..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와 통풍약 같이 복용시 부작용이나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성분의 약은 아니기에 함께 복용해도 가능하며 탈모약의 경우 의사와 상의하에 복용여부를 결정하길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통풍약과 항히스타민제는 동시에 드셔도 무방합니다. 콜킨정은 매일먹는 약이 아닌거아시죠? 페브릭이 매일먹는거고 콜킨은 아플때만 드시는겁니다.

    평소에 알러지가 있으신데 새치염색으로 두피 알러지가 심해지면 탈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탈모는 3개월뒤에 회복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우선 모발이 빠지는 증상의 경우 여러가지 원인을 고려해봐야 겠습니다. 해당 통풍약을 먹고 탈모의 가능성은 낮으나 완전히 배제할 순 없습니다.

    2. 통풍약을 1-2주 정도 복용 중단한다고 해서 요산 수치가 급격히 올라가진 않습니다. 우선 의사의 권유대로 복용 중단해보시고, 대신 약안먹는동안 절대 금주하시고, 단백질 함량 적은 식사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3. 항히스타민제와 탈모약 복용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상호작용은 크게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단순히 해당 약을 같이 드신다고 해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페브릭은 섭취시 일부 사람에게서는 탈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여러 연구가 있습니다. 물론 모든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나 해당 증상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으니 병원 방문 후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통풍약과 항히스타민제를 같이 복용하셔도됩니다. 페브릭은 탈모증 부작용보고가 있습니다. 다른약으로 바꿔서 복용하셔야할것 같네요.

    피부 및 피하조직계 이상 : 탈모증, 혈관부종, 피부염, 피부그림증(dermographism), 반상출혈, 습진, 모발 변색, 모발성장 이상, 땀과다증, 피부박리, 점상출혈, 광과민증, 가려움증, 자색반증, 피부변색/색소침착 변화, 피부병변, 액취이상, 두드러기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페브릭을 복용하는동안 탈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있습니다. 약을 임시중단하셨으니 음식섭취를 주의하셔야해요.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콜킨<콜키신 0.6mg>

    >>장기연용으로 탈모, 피진, 혈뇨, 감뇨, 무뇨, 자색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페브릭<페북소스타트>

    >>피부 및 피하조직계 이상 : 탈모증, 혈관부종, 피부염, 피부그림증(dermographism), 반상출혈, 습진, 모발 변색, 모발성장 이상, 땀과다증, 피부박리, 점상출혈, 광과민증, 가려움증, 자색반증, 피부변색/색소침착 변화, 피부병변, 액취이상, 두드러기

    해당 약물의 부작용으로 탈모가 보고된바있습니다.

    다만 원형탈모의 경우 면역력 저하 혹은 스트레스일 수 있습니다.

    진료받아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