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단사스
단사스

이런경우 퇴직금계산할때 문의드립니다

사장님께서 4대보험은 전액 내주고 실수령액으로 250만원을 받기로하고 받았습니다. 이럴때 퇴직금계산은 실수령액으로 하는지 아니면 250에서 역산으로 계산해서 세전급여로 계산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창국 노무사입니다.

    위와 같이 약정을 하면 분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퇴직금은 세전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라고 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근로소득세 + 4대보험료 근로자 부담부분까지 모두 대납해 주는 경우 세전 월급이 250만원인지 역산한 금액인지 특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근로소득세 + 4대보험료를 근로자가 부담했다면 당연히 역산한 금액으로 해야 하지만 질문자가 부담한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부담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일반적으로 250만원 기준으로 퇴직금을 계산합니다.(질문자가 세전 금액으로 퇴직금을 계산하여 지급 받을 차액보다 더 많은 실질 이익을 받기 때문에)

    저는 자문사에 절대로 4대보험료 대납 등 실수령액으로 월급 약정을 하지 말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위와 같은 분쟁이 발생하고 사업주 생각 + 근로자 생각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재직할 때 혜택을 받을 때는 좋지만 퇴사할 때는 퇴직금을 더 받고 싶은게 인간의 마음이므로)

    사업주와 협의하여 퇴직금 액수를 책정해 보시고 죽어도 세전으로 계산하는게 맞는거 같다면 고용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여 판단을 받아 보세요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네트제 계약을 체결했더라도 퇴직금은 실수령액을 역산하여 산출된 세전급여를 기준으로 퇴직금을 산정하고, 여기에 퇴직소득세 및 지방세를 공제하고 지급받으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