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겨울 철새들이오면 고병원성 조류인플레인자가 많이 나오나요?

겨울철이 되면 항상 조류인플레인자가 야생 철새들이 오면서 많이 확대되는것 같습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레인자 심각 단계라는데 대책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철새들은 먼곳을 자주왔다갔다하면서 각종 바이러스를 접촉할 가능성이높습니다. 또한 여기저기 숙주를 옮겨주기때문에 변종바이러스가되어 대응하기 어렵게할 가능성도 높죠

    이들 중 고병원성 바이러스를 지닌 개체가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철새들은 장거리이동을하기때문에 변종바이러스를 지니고있을 확률이 높고 체력이좋은편이라 죽지않고 바이러스를 옮기고다닌다고합니다.

    이과정에서 조류농가들이 피해를 보기때문에 철새에대한 방역과 접근방호조치가 이루어집니다.

  • 겨울철에 철새들이 이동하면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산될 위험이 커집니다. 철새들은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어 이동 경로에 있는 농가나 야생 조류에 쉽게 전파할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한 주요 대책으로는 첫째, 가금 농가의 방역 강화가 필요하며, 철저한 소독과 외부인 출입 통제를 통해 전염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둘째, 철새 도래지 주변의 농가들은 철새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외부 환경과 차단할 수 있는 울타리 설치나 차단 시설을 강화해야 합니다. 셋째, AI 발생 지역 주변 농가에서는 신속한 백신 접종과 함께 발병 시 빠른 격리 및 폐사가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지자체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조기 경보 시스템을 통해 확산을 예방하고 차단하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철새에 의해 고병원성 AI가 크게 확산 될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현재 AI가 심각 단계라는 것 또한 사실이고, 이에 대한 여러 대책들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철저한 방역입니다. 축사 소독, 생석회 벨트 설치, 차량 소독, 출입자 관리 등 농장 내외부 방역을 강화하고, 철새 도래지 감시, 야생조류 사체 수거 등을 통해 AI 발생을 조기에 감지하고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또한 AI 발생 지역에 대한 가금류, 축산 차량 이동을 제한하여 바이러스 전파를 막으며 AI가 발생한 농장의 가금류를 살처분하고, 농가에 대한 보상을 실시하고 있으며 AI 확산 방지를 위해 발생 농장 주변 농가의 가금류를 예방적으로 살처분하기도 합니다.

    물론 AI 백신 개발 및 보급을 통해 가금류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중이며 정책만으로는 어력기 때문에 AI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려, 국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철새들이 대규모 이동을 하면, AI 바이러스를 가지고 한반도에 들어오게 됩니다. 현재 현실적인 대책은 철저한 방역 및 철새 유입 방지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