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너그러운천인조256
너그러운천인조256

다음 증상으로 의심해볼 수 있는 병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40
  1. 갑작스런 심박상승과 호흡곤란이 생깁니다.

계단을 오를 때, 무거운 걸 들 때, 순간적으로 몸을 조금 격렬하게 움직일 때, 잠을 잘 못자서 몸이 많이 피곤한 상태일 때, 그리고 별다른 이유없이 그렇게 되기도 합니다.

2.심한 어지럼증을 느낍니다.

일상적인 어지럼증이 경미하게 있는데, 컨디션이 안 좋을 땐 그 정도가 매우 심합니다.

  1. 그 밖에 신체떨림과 손발저림, 지속적인 피곤함도 달고 살고 있습니다.

어떤 병들을 의심할 수 있고 어느 진료과에서 어떤 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질문자분의 증상으로 보아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갑작스런 심박 상승과 호흡곤란, 어지럼증, 신체떨림, 손발 저림, 지속적인 피로감 등의 증상은 여러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심장 관련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불규칙한 심박동과 호흡곤란은 심부전, 부정맥 또는 협심증과 관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심장내과에서 심전도 검사나 심장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이러한 증상들은 내분비 질환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갑상선 기능 이상, 당뇨병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내분비내과에서 혈액 검사 및 추가적인 평가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빈혈이나 철 결핍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내과에서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이러한 증상이 정신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불안 장애나 공황 장애와 같은 경우에도 유사한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증상에 따라 여러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보다 구체적인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먼저 심박수 증가와 호흡곤란, 어지럼증 같은 증상들은 흔히 자율신경계 문제나 불안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요, 하지만 갑상선 질환이나 빈혈, 심장 문제 같은 신체적 원인도 배제할 수 없어서 내과에서 기본검사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특히 심전도, 갑상선 호르몬 검사, 혈액검사 정도는 꼭 해보시길 권해드려요. 이런 검사들로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자율신경계 문제라면 약물치료와 함께 생활습관 개선으로 좋아질 수 있으니 너무 걱정 마시고 검사부터 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빈맥이나 부정맥, 심부전 등의 심혈관계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갑상선 기능 항진이나 당뇨에 따른 저혈당 증상, 불안 장애나 공황장애, 자율신경계 이상 등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빈혈에서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인한 심박 상승이나 어지럼증 등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우선은 내과에 방문하여 기본적인 혈액검사와 심전도, 심초음파, 갑상선 기능검사, 혈당검사 등을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용우 의사입니다.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우리동네 주치의입니다.

    질문 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1. 부정맥이 의심됩니다.

    2. 기립성 저혈압, 미주신경성 실신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질문하신 것처럼 두근거림, 어지러움 증상이 있을경우

    순환기 내과 방문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이외에도 다른 증상이나 걱정되시는 점이 있으시다면 질문 남겨주시거나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딱히 구체적인 질병이나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특이적이고 특징적인 증상들이 아닙니다. 해당 증상들과 관련하여서는 신경계, 순환기계 쪽의 문제의 가능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볼 수 있어 보이긴 합니다. 일차적으로 신경과, 이차적으로 순환기내과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진료 및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상태 평가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