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

소변 검사에서 케톤이 검출되는 경우.

나이
42
성별
여성

건강 걈진을 하고 나서 검진 결과지를 받았는데 서변에서 케톤 성분이 검출되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양성(3)이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몸이 어떤 상태라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케톤체는 주로 우리 몸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지방을 분해할 때 생기는 부산물인데, 이는 정상적인 탄수화물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신체가 탄수화물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이것은 고단백,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 금식을 오래하는 사람, 또는 신체가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거나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당뇨병 환자에게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식사 패턴으로 돌아가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면, 케톤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으며, 보통은 자연스럽게 정상 상태로 돌아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케톤 또는 케톤체는 간에서 만들어지는 산성 분자입니다.

    간이 세포, 지방 또는 단백질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면 부산물이 케톤으로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매우 적은 양의 케톤이 소변에서 폐기물로 방출됩니다.

    금식 중 이거나 임신, 당뇨병과 같은 건강 상태가 있는 경우 신체는 사용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케톤을 생성하고 소변을 볼 때 신체에서 제거를 위해 케톤뇨증의 케톤 수치가 높아집니다.

    케톤뇨증이 +3이라면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케톤은 지방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수치인데, 단순히 금식을 길게 하는 것부터 당뇨병까지 다양한 의료적 컨디션과 연관이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소견만 가지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태이다 평가할 수 없습니다. 내과적으로 정밀 검사를 통해서 원인이 되는 문제가 무엇인지 최대한 감별해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케톤은 금식을 하게 되면 소변에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검진에서 케톤이 나올 때는 금식을 제대로 했다고 판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