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로로
뽀로로23.07.19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바다에서 밀물과 썰물이 생기게 되는데 어떻게 바닷물이 그렇게 움직이게 되는건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또한 만약 밀물과 썰물이 생기지 않는 경우 나타나는 현상이나 문제점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밀물과 썰물은 해양 조력과 달력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달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첫째로, 밀물과 썰물은 달력에 의해 발생하는 조력의 결과입니다. 달과 지구 사이의 중력이 물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데, 달과 지구가 일직선 상에 위치할 때(만월), 두 천체의 중력이 결합하여 물이 끌려 밀물이 생기게 됩니다. 반대로, 지구의 중력이 달의 중력을 상쇄시키는 때(보름)에는 썰물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조력에 의해 일일히 2회씩 밀물과 썰물이 발생하게 됩니다.

    둘째로, 태양도 조력을 발생시키는데, 태양의 중력도 달과 비슷한 양상의 영향을 미칩니다.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에 위치할 때(계신, 내신)는 태양의 조력과 달의 조력이 합쳐져서 가장 큰 조력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봄과 가을철에 발생하는 대조적인 조력을 의미합니다.

    만약 밀물과 썰물이 생기지 않는 경우, 해양 조력이나 기상 조건에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해안선의 형태 변화, 조류의 이동, 해양 생물의 서식지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밀물과 썰물은 해양 생태계와 인간의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 현상입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달에 인력에 의해 발생됩니다.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죠.

    달의 인력이 사라진다면 썰물 시 서식하는 종의 경우 생태계 파괴가 야기될 수도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해양 조수의 조화 현상으로서, 월의 중력과 태양의 중력이 지구에 작용하는 결과입니다. 이를 조석력이라고도 부릅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월과 태양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중력을 발생시킵니다. 월과 태양의 중력은 지구의 수면에 대한 조석력을 만들어냅니다. 이 조석력은 지구의 물을 끌어당기는 힘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수면이 변동하게 됩니다.

    월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조석력은 변화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밀물과 썰물이 발생합니다. 월과 태양이 같은 방향에 있는 경우(월식 및 태양식), 그리고 반대 방향에 있는 경우(상승 및 하강 조석)에는 조석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므로 밀물이 발생합니다. 이에 반대로, 월과 태양이 서로 직각으로 위치한 경우에는 조석력이 약해지므로 썰물이 발생합니다.

    또한, 조석력은 지구의 자전에 의한 효과도 받습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극지방에서는 추가적인 힘이 작용하여 조석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이유는 달의 인력과 지구의 자전 때문입니다.

    지구자전으로 바깥 쪽으로 쏠리는 원심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으나, 달 쪽을 향한 인력은 달의 중심을 향하므로 지구에서 달을 마주보는 편에서의 인력과 반대편에서의 인력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그 인력에 이끌려 지구와 달이 마주 보는 부분은 바닷물이 모이게 되고, 지구와 달이 바주보는 부분의 반대쪽도 원심력에 의해서 바닷물이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이 현상의 반복으로 밀물과 썰물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서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원리는 달의 인력이 지구의 바닷물에 미치는 작용입니다. 달은 지구의 바닷물에 인력을 미치는데 이 인력의 크기는 지구의 지면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장 큽니다. 따라서 달은 지구의 바닷물에 힘을 가해 바닷물이 달의 쪽으로 끌려가게 됩니다. 이때 달의 쪽에 있는 바닷물은 높아지고 달의 반대쪽에 있는 바닷물은 낮아집니다. 이것이 밀물과 썰물입니다 만약 밀물과 썰물이 생기지 않는다면, 바닷물의 높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것입니다. 이로 인해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조개류나 해조류는 밀물과 썰물에 따라 이동하면서 먹이를 찾고 번식합니다. 만약 밀물과 썰물이 생기지 않는다면 조개류나 해조류는 먹이를 찾지 못하고 번식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파괴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서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조력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만기(만해)와 부기(물밀이)라고도 합니다.

    1. 밀물과 썰물의 원리: 달과 태양의 조력으로 인해 지구의 해수면에 조금씩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양쪽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이는 물의 높이 차이 때문에 밀물과 썰물이 발생하게 됩니다.

    • 밀물: 달과 태양이 동, 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물이 일정 구역에서 가장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달과 태양의 조력이 지구의 해수면을 높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밀물이 발생합니다.

    • 썰물: 달과 태양이 서, 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물이 일정 구역에서 가장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달과 태양의 조력이 지구의 해수면을 낮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썰물이 발생합니다.

    1. 밀물과 썰물이 생기지 않는 경우: 만약 특수한 조건에서 밀물과 썰물이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리적인 요인이나 바닷물의 특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우주 현상: 달과 태양의 조력이 극적으로 약할 수 있는 우주 현상이나 특수한 천문학적 상황 때문에 밀물과 썰물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지리적인 영향: 만, 만리, 보, 해협 등 지형에 따라서도 밀물과 썰물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 요인들로 인해 물의 높이 차이가 줄어들거나 특정 지역에서는 밀물과 썰물이 잘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밀물과 썰물은 자연 현상으로서 바닷물의 움직임과 해수면의 높이 차이를 설명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바닷가 생태계와 조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조수발전 등에 활용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는것이죠.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밀물과 썰물이 생기지 않는 경우 파도가 거의 치지 않아 잔잔하며, 퇴적, 침식 작용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염전이나 갯벌이 없을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