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디지털·가전제품

스마트폰·태블릿

사막위의오아시스
사막위의오아시스

유선전화는 해킹의 위험이 없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특정 통신사의 유심칩 해킹사건으로 대한민국에 큰 화제로 이슈되고 있는데요. 그럼 무선전화가 아닌 유선전화는 해킹의 위험이 없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독한낙타36
    고독한낙타36

    유선전화는 일단 해킹이 될만한 그런 장비가 업으니까요

    일단 인터넷을 이용하는게 아니잖아요 요즘의 해킹은 인터넷이 없으면 해킹이라는거 자체가 없어질 정도로 인터넷을 통한 캐킹이 100%입나다 그런데 우리가 예전에 쓰던 구형 유선전화는 인터넷을 통한 방식이 아니므로 해킹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전통적인 유선전화는 해킹 위험이 매우 낮지만, 물리적 도청이나 교환기 해킹 등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IP전화(VoIP)는 인터넷을 통한 해킹 위험이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스마트폰, 무선통신 기기보다 훨씬 안전하지만, 민감한 정보가 오가는 곳에서는 여전히 보안 관리가 요구됩니다

  • 유선 전화 같은 경우에는 해킹 위험은 없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만약에 보이스피싱 이런 걸로 본인이 당하지 않는 이상 그냥 해킹은 유선 전원은 들어본 적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해킹 위험은 스마트폰만 조심하시면 됩니다

  • 유선 전화도 해킹 대상이 됩니다. 파키스탄의 카라치에서 약 17년 전인 2008~2012년에 국제 범죄 조직이 4년 남짓한 기간에 세계 전역에서 유선전화를 해킹해 5000만 달러 이상을 사기를 쳐서 발각 된 적이 있었습니다. 신용카드 해킹과 비슷한 형태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가짜 유선 전화 번호를 만들어 피해자의 번호를 이용해 전화를해서 결국해커에게 돈이 지불 되게 하는 방식 이였다고 합니다.

  • 유선전화도 해킹 위험이 아주 없는 건 아니죠.

    도청, 전화 교환시스템 해킹 등이 있을 순 있겄죠.

    그러나 물리적인 접근을 전져로 해야 하고 해킹해서 이득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저 통신만 하는 수단이라 큰 피해 입을 것도 없죠.

    또 스마트폰이 아닌 피체폰이라면 유심 해킹을 당해도 별거 없죠.

    문제는 스마트폰이라는 점이죠.

    질문자님 혹시 스마트폰을 다른 기능은 안 쓰고 전회용도로만 쓰세요?

    그럴 리 없잖아요.

    요즘 스마트폰은 아예 제2의 신분증의 역한을 한다고도 볼 수 있고 각종 정보들이 모아져 있으니 해킹시 민감한 정보까지 털리니까 문제가 되는 것이죠.

    그동안 다른 통신사도 해킹을 당한 적은 있으나 이번에 털린 SKT사태는 중앙서버가 털린 것이고 이건 전세계 최초랍니다.

    게다가 KT나 LG는 유심칩 정보를 암호화해서 ㅈ디장해 놓지만 SKT는 암호화하지 않앟다고 하구요.

  • 유선전화도 해킹의 위험이 있습니다. 가령 유선전화인데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해킹에 더 취약할 수 있고, 인터넷 전화는 암호화되지 않고, 해커들이 이를 중간에서 가로채거나 변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인터넷 전화 해킹 사례도 있구요. 수백만원의 요금이 청구됐다고.

    또 착신전환을이용한 해킹이 있는데, 걸려오는 전화를 다른 전화기로 받게 해주는 것인데, 이를 이용해 범죄에 악용하는 것입니다. 피해자의 유선전화를 착신전환 설정한 해커들이 금융거래 인증 과정에서 보내지는 인증번호나 ars를 가로챌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