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 금리 외에 어떤 방법을 쓰고 있나요?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 기준 금리를 대폭 올렸습니다. 그러나 현재 기준 금리를 높게 유지하고 있음에도 인플레이션율이 여전히 높은데요. 그렇다면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 금리 외에 어떤 방법을 쓰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미국의 경우 인플레이션율을 낮추기 위해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방법 이외에 미국 은행들의 지급준비율을 낮추는 방법등을 함께 사용하나, 현재 사용중인 방법은 기준금리의 인상 외에는 다른 방법은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에요

  • 아무래도 미국과 같은 경우 현재 물가를 낮추기 위하여 금리를 유지하는 것을 제외한다면 각종 보조금 등을 지급하는 등 별도의 정책은 펼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하신 미국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 금리 외에 어떤 방법을 쓰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정부들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준 금리를 올리게 되는데

    이것이 통하지 않게 되면

    양적완화 제도를 도입해서 긴급하게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려고 할 것입니다.

  • 정부는 예산 조정을 통해 소비를 억제하거나 세금을 인상하여 경제 활동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추진합니다.

  •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재생 에너지뿐 아니라 수소·원전·석유·천연가스·에너지 저장 등 다양한 유형의 에너지원을 깨끗하게 생산하고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 모두 지원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와는 정반대입니다. 천연자원을 개발하는데 힘을 쓴다는 것은 우리나라 물가에 많은 영향을 주는 유류값을 잡겠다는 것입니다, 유류값이 오르면 운반비가 올라가고 상품값이 올라갑니다, 미국은 장기적으로 물가를 낮추기 위해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합니다

    한국이 부자감세를 합니다만, 오히려 미국은 부자들에게 증세를 합니다

    세금을 더 걷어 시민들을 위한 여러 지원을 할 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