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원화의 실질가치 하락으로 인한 원인은 어떤 것이 있나요?

달러인덱스 수치가 떨어지고 있음에도 원달러 환율은 내려올 기미가 안보입니다. 기준금리 외에 원화의 실질가치 하락으로 인한 원인은 어떤 것이 있나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는 원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원화는 아쉽게도 주변 국가의 화폐인

    위안화 (CNY)와 옌화 (JPY) 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며

    이 두 화폐의 가치 역시 크게 내리고 있어서

    원화 역시 내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인덱스는 선진국통화 8개를 비교해서 다룬 인덱스이며 정확히 유로의 비중이 57프로이며 그다음이 엔화 파운드 이런식이며 원화는 포함이 안됩니다.

    즉 달러인덱스는 생각보다 떨어지지 않았음에도 달러와 비교해서 원화자체가 약세가 더심해서 떨어진것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그동안 해외주식으로 기업이나 개인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몰리며 자본수지가 지속 유출이 되는게 원인이며 국내 대기업들이 벌어들인 달러를 국내 외환시장으로 환전이 아니라 해외지사에 놔두거나 그냥 보유하여 이를 미국내 투자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외환시장에서 달러로 바꿔 미국내 직접투자가 증가해서입니다.

    또한 한국의 3500억달러에 달하는 천문학적 자금도 원화 약세의 근본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 인덱스 하락에도 원화 가치가 약세를 보이는 것은 미국과의 금리 차 외에 한국 경제의 구조적인 취약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첫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관세 등 통상 정책 불확실성에 취약하며, 이는 원화에 대한 위험 프리미엄을 높입니다. 둘째, 국민연금 등 국내 기관의 대규모 해외 투자가 지속적으로 외화 수요를 유발하여 원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셋째, 한국의 잠재 성장률 저하와 인구 고령화 등 장기적인 경제 활력 저하 우려가 원화 가치의 펀더멘털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역수지 악화, 외국인 자금 유출, 지정학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금리 차이보다 경상수지와 투자심리가 환율에 더 큰 영향을 줍니다.

    달러 약세에도 원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은 펀더멘털 불안 요인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의 실질적 가치 하락 원인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 한국 무역적자와 수출 둔화, 경기 침체, 외환보유액 감소, 국내 정치•정책 불확실성 등 복합적인 대내외 요인이 겹친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낮은 성장 모멘텀과 금리 인하 기대, 그리고 미국 경제의 상대적 강세에 따른 자본 이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원화의 실질가치 하락을 유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의 실질 가치를 떨어뜨리는 제일 크게 작용하는 요인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안 좋거나 무슨 큰 사건이 터지면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리면서 원화 가치가 약해지기 쉽습니다. 그리고 한국 경제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들도 영향을 미치는데, 과거 레고랜드 사태 같은 내란 상황이나 경제적인 불안감이 커질 때도 원화의 실질 가치가 크게 하락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