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심심한호랑이161
심심한호랑이16123.08.14

우리나라 역사에서 실제 왕이 전쟁에 참여한 경우가 있나요?

우리나라 역사에서 실제 왕이 전쟁에 참여해서 직접 싸움경우가 있나요? 보통 왕들은 뒤에서 떨어져서 지시만 하지 않았을까 여겨지는데 이런 경우가 있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대한민국(한국) 역사에서 왕이 전쟁에 직접 참여한 경우가 있습니다.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보면, 몇몇 왕들이 전쟁에서 실제로 참전하거나 군사 작전을 주도한 경우가 있습니다. 일부 사례를 아래에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세종대왕 (재위: 1418년 - 1450년): 세종대왕은 정치적인 리더십과 함께 군사 지도자로서도 활약했습니다. 홍법전을 통해 병사 양성과 군사력 강화를 추진하였으며, 조선이 외부의 위협에 직면할 때 개인적으로 전쟁 지휘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고종대왕 (재위: 1863년 - 1907년): 고종대왕은 병인양요(병인양서)와 동학농민운동 등 시대적인 변화와 갈등의 중심에서 전쟁과 관련된 상황에서도 개입하려고 했습니다. 그는 귀순한 러시아 군사와 교류하며 국방 계획을 세우고자 하였습니다.


    효종대왕 (재위: 1649년 - 1659년): 효종대왕은 조선-청 전쟁 중에 개인적으로 군대를 이끌고 전쟁에 참전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 외에도 조선시대에는 여러 왕들이 군사 문제와 전쟁에 관심을 가지며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례들은 전쟁에 대한 왕의 개입이 주로 예방적이거나 군사 전략적인 면모를 중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사에서도 전쟁이 잦았던 삼국시대까지는 친정 능력은 임금의 기본 덕목이었습니다. 유능한 장수에 지휘를 맡기는 일도 많았지만, 왕이 굳이 나가서 지휘한 기록도 상당히 많은데 대표적인 왕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입니다. 그리고 고국원왕(고구려)이나 성왕(백제)은 친정 과정에서 결국 전사하기도 했습니다. 신라에서 유독 3명 여왕의 재위기간에 주변국의 공격이나 내부 반란에 크게 시달린 것도 친정을 할 수 없는 여자가 임금에 올랐으니 신라를 흔들기 좋은 시기라고 봐서라는 설도 있을 정도였습니다. 고려의 태조 왕건 또한 친정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