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게 말하면 행동하지 않고 화를 내야 듣는 아이 어떻게?
초등학교3학년 딸아아기 좋게 무엇을 하라고 하면, 들어도 못들은 척 하면서 계속 다른 행동을 합니다.
그러다가 화가나서 화를 내면서 말을 하면 그제서야 행동을 하고요.
이러한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화를 내야 말을 잘 들으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복적으로 차분하게 말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좋게 말을 하면 말을 듣지 않는 아이의 원인은
크게 부모님의 뭐라 하든 말든 개의치 않는 행동으로
어른의 무서움을 모르고 자신의 행동의 대해 잘못한 부분을 인지하는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 입니다.
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어른을 공경하고 예의를 지켜야 하는 부분과 자신의 잘못된 부분을 제대로 인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로 할 것 같습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구요,
더나아가 어른에게 공손해야 되는 부분과 예의를 지켜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이럴 때 부모는 먼저 아이의 행동 패턴을 차분히 관찰하고 그 행동의 원인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고 다른 행동을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이가 단순히 부모의 말을 흘려 듣고 있는 경우, 집중력이 부족한 경우, 혹은 다른 일에 몰두해 있어서 말을 듣지 않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아이가 부모의 말에 익숙해져 너무 많은 지시를 받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중요한 점은, 부모가 아이에게 일관되고 명확한 규칙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무시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요구를 할 수 있어야하며, 그 요구가 지나치게 많지않도록 하여 아이가 오히려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주의를 기울여야하는 상황에서는 가능한 한 방해요소를 최소화하고, 아이가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호자의 훈육을 보고 눈치를 보면서 행동하는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단호하게 훈육을 하되, 좋게 말할 때 하지 않으면 더 화를 내고, 단호하게 말할 수밖에 없다고 말하면서 아이가 말을 듣도록 유도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긍정적인 약간의 보상이나 강화 전략을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좋게말하면 행동하지 않고 화를 내야 듣는 아이라면 보상제를 사용해 좋은 행동을 보일때 아이가 좋아하는걸 제공해 아이의 좋은 행동을 강화시킵니다
안녕하세요. 강미숙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으면 속상 하시죠? 혹시 이런 패턴이 습관으로 고착화 되기 전에 살펴 보세요
평소 아이와 대화하는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
긍정적인 대화분위기를 만들다 보면 아이도 엄마의 마음을 이해할거에요
아이의 반응이 좋을때 칭찬과 격려를 해 주세요
아이가 혼란 스럽지 않도록 일관성 메시지를 주어 보세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꾸준히 노력하면 점점 좋아 질거 에요
파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하였을 때 칭찬과 보상을 해주세요.
칭찬과 보상으로 인해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화를 내서 강압적으로 행동을 하게 하면, 그 순간 행동을 할 수는 있지만 악감정이 들고 스스로 하는 능력은 생기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