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틀니 하는 시점이 60대인가요?
사람마다 다를거 같긴한데 평균이 궁금하네요 60-70대에 틀니를 많이 하나요? 하게되면 금액적인 부분이 다소 부담스러울 정도 일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1~2개 치아가 빠져서는 틀니를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비현실적입니다. 위, 아래 합쳐 적어도 어금니 5~6개 정도는 빠져야 틀니를 진행하게 되는데 우리나라 통계를 보면 50~59세에 잔존치아개수가 약 25개 (약 3~4개의 치아가 빠짐), 60~69세에 잔존치아개수가 약 22개 (약 6~7개 치아가 빠짐) 입니다. 즉, 말씀하신 것처럼 60대에 접어들면 점차 잇몸상태가 안좋아져서 치아가 빠지고 틀니로 넘어가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틀니는 만65세부터 보험이 됩니다. 수요가 증가하는 시점에 건강보험이 알맞게 적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보험적용될 경우 30%의 본인부담이 있습니다.
보험적용이 안된다면 부분틀니, 전제틀니 둘 다 위,아래 각각 150만원의 비용이 듭니다
부분틀니는 여기에 치아 크라운 씌우는 비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틀니하는 시점이 정해진건 아닙니다. 치아가 다 빠졋거나 다수의 치아가 빠진경우에 틀니를 하게되는거죠. 나이는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틀니는 65세 이상이 지나면 7년주기로 건강보험을 적용해서 45만원 정도에 한부위를 만들수 있습니다.
틀니를 하는 나이는 사람마다 달라서 구강관리가 잘 안된다면 50대에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만65세를 보통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금액은 65세부터 보험이 되어 크게 비싸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