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일반적으로 실업율을 계산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우리가 보면 경제 지표에실업율이 발표가 되는데요.

이러한 실업율의 계산은 어떤방식으로 계산을 하는것인지

기간은 어느정도로 정하는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라고 하는 것은 노동력을 가진 사람 중 일자리가 없으나 구직의사가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그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실업률은 실업자 수를 노동력으로 나누고 100으로 나눠 비율로 나타낸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이 조사 등은 매월 운영이 되며, 우리나라는 통계청이 주관하여 월단위로 조사하여 이러한 결과를 발표하는 시스템으로 경제흐름을 파악하는 구조로 접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실업률을 계산하는 공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통계청 기준의 실업자는 조사 시점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았지만

    지난 4주 동안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한 사람을 실업자라고 정의하고

    이런 실업률을 구하는 공식으로는

    ((실업자)/(취업자+실업자)) * 100 을 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제 일자리를 갖지 못하고 구지 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때 계산은 실업자/경제활동인구x100으로 산출하며 여기서 경제 활동 인구는 만 15세 이상 중 취업자와 구직자를 모두 포함합니다.

    실업률은 매 달 조사 하고 있으며 통계청이 표본 조사를 한 후에 발표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한 달마다 발표를 하거나 분기별로 발표를 하는데 그 기준이 어렵습니다

    • 우선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구직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을 실업률이라고 합니다

    • 여기서 경제활동인구에는 쉬는 인구나 군인 학생 주부 들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따라서 1주일에 1시간이라도 구직을 하는 사람만이 실업률 데이터에 포함이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보다 더 적게 데이터로 잡힙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은 간단히 말해, 일할 능력과 의사가 있는 사람들 중에서 현재 직업을 갖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 방식은 실업자 수를 경제활동인구(취업자와 실업자를 합친 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실업자'의 정의가 중요한데, 단순히 일을 안 하는 사람이 아니라 조사 시점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 동안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했으며, 당장이라도 일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사람만을 의미합니다.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은 실업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경제활동인구'는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취업자'와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고 있는 '실업자'를 합한 수치입니다. 따라서 실업률은 전체 경제 활동이 가능한 인구 중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실질적으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직 활동 기간은 국제노동기구(ILO)의 기준에 따라 최근 4주(28일) 동안의 활동을 기준으로 합니다. 과거에는 1주 기준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국제적인 기준에 맞춰 4주 기준이 공식적인 실업률 산정에 적용됩니다. 4주 기준을 적용하면, 조사 주간 이전에 구직 활동을 했더라도 최근 4주 이내의 활동이라면 실업자로 분류되기 때문에 실업률이 다소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이해해야 합니다.

    실업률은 통계청이 매월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통해 발표하며, 월별 실업률을 기준으로 분기별로는 해당 분기 3개월의 평균, 연간으로는 12개월 월별 실업률의 평균을 산출하여 발표합니다. 이처럼 실업률은 노동 시장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을 구하는 공식은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수 x 100입니다. 실제로는, 통계청에서 전국의 약 33,000 표본가구에 상주하는 만 15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일정 시점(매월 15일이 속한 주)에 경제활동 상태를 파악하는 경제활동 인구조사를 매월 실시해서 취업자와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를 조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만15세인구 중에서 일할 의사능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취업자수와 실업자를 합한게 경제활동인구이며 나머지는 비경제활동인구입니다

    즉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에서 실업자수를 나눈 비율이 실업율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과 같은 경우에는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하게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