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이로동
이로동23.03.30

일본인들이 받침이 있는 발음을 왜 못하나요?

일본인들은 우리나라 받침있는 단어 발음을 제대로 못하던데 영어발음 아예 자기들 맘대로 발음하더라고요 우라라와 근접한 옆나라인데 왜 이렇게 발음차이가 심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인이라서 받침단어를 표현 못한다는 건 아니구요.


    애초 일본어에 받침이 있는 단어들이 없어서 받침있는 단어를 발음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입니다.


    발음 교정을 받고 받침단어를 발음 잘하는 일본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 전반적으로 받침발음을 어려워 하기는 함.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각각의 언어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받침이 있는 발음을 하지 못하는 것은 언어 체계의 차이 때문입니다. 한국어는 받침이라는 발음 현상이 있어서 자음이 발음되지 않고 음절의 끝에만 존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글"에서 "ㄹ" 자음이 받침으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일본어에는 받침이라는 발음 현상이 없습니다. 따라서 일본인들은 한국어에서 받침이 있는 발음을 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받침이 있는 발음을 연습할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어에서는 받침이 없는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한국어에서의 받침과는 달리, 어떤 음절 뒤에도 자음이 올 수 있고, 발음상으로도 어떤 음절 뒤에도 끝소리(받침)가 없습니다. 이러한 언어 체계는 한국어와는 다른 발음습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에서는 받침이 있는 글자의 발음을 잘하지만, 일본어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감자'라는 단어는 '감'이란 음절의 받침 'ㅁ'이 '자'라는 음절의 초성 'ㅈ'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발음이 변화합니다. 하지만 일본어에서는 이러한 발음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한국어에서 받침이 있는 글자의 발음을 제대로 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어에서는 음소의 발음이 상대적으로 부드러우며, 발음의 연결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국어에서는 받침이 있는 글자의 발음이 단절되어 들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음적인 차이 때문에, 일본인들이 받침이 있는 글자의 발음을 제대로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발음 차이는 언어적인 습득과 연습으로 개선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한국어를 배우면서 받침이 있는 글자의 발음을 연습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일본어를 배우면서 음소의 발음 차이와 발음의 연결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0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받침"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발음 규칙 중 하나이며,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본어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그러나, 한국어와 일본어는 발음과 언어 구조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언어적인 영향으로 인해 일부 일본인들이 한국어의 발음 규칙에서 생소한 받침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받침은 음절의 끝 소리를 발음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일본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그러한 발음 규칙이 없으므로 일부 일본인들이 받침을 발음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일본어와 한국어의 발음 차이는 모든 일본인들에게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각각의 개인의 언어 학습 경험과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받침'은 한국어에서 발음의 끝에 오는 자음 소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본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는 받침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본어는 언어 구조적으로 발음의 끝에서 음절을 줄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한국어에서는 끝소리를 잘라내는 것과 같이, 일본어에서는 말 중간이나 끝에서 발음을 축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です"라는 일본어 단어의 경우 "desu"로 발음하지만, 실제로는 "de-s"와 "u"로 나누어 발음합니다. 이러한 발음 축약이 일본인들이 한국어의 받침을 발음하기 어렵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본어의 목소리 역학적 특징도 한국어와 다릅니다. 일본어는 발음할 때 입을 크게 벌리는 것이 아니라, 입 모양을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하면서 발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발음 방식이 일본인들이 한국어의 받침을 발음하기 어렵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언어적 차이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발음 차이와 관련이 있을 뿐, 일본인들이 받침을 발음하기 어렵다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한국어를 배우는 일본인들 중에서는 받침을 잘 발음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인 중에서도.. 잘 되는 사람이 있는 가 반면.. 잘 안 되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죠..


    그래두. 제 생각에는요.. 일본 식 발음은..


    쎈 발음 밖에 안 되잖아요..


    그래서. 우리 말 중에서도.. 어른들이.. 소주를 쐬주 라 그러는 경우도 있구요.


    일본 식 발음은.. ㅃ, ㅉ ㄸ ㄲ ㅆ 이런.. 발음이 많이 들어가서 , 그럴 꺼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