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Eucalyptus
Eucalyptus22.12.07

코로나 격리 해제 10일후 소독과 청소방법 문의드립니다

나이
27
성별
여성
기저질환

격리10일이 지날때

제가 지냈던 방 , 그리고 지나갔던 거실 , 화장실 , 비확진자방


4군데를 소독해야 하는데 여러 질문이 있습니다.


격리 10일이 지난 확진자 였던 사람이

직접 비확진자방을 소독해줘도 괜찮나요?

그리고


4군데를 다 청소해야하는데 순서를 제가 지냈던 방 먼저

소독해야 하는건지 제일 나중에 해야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소독을 할때 먼저 벤잘코늄염화물액 50% 가 들어간

크리넥스 안심 물티슈로 먼저 닦고


락스로 천에 뭍여 한번더 닦고


10분뒤에 물을 뭍여 닦아 마무리 하려고 합니다.


벤잘코늄염화물액이랑 락스 성분이랑 만나게 되면

유해가스가 나오진 않는지 궁금하고


그렇다면 살균 물티슈로 닦는 과정없이


락스 뭍힌 천으로 닦은다음


젖은 천으로 닦아 마무리 하면 올바른 소독 방법이 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ㅠ


그리고 확진자였던 사람이 모든 방을 청소한다음


화장실 소독을 다하고 씻고나서 한번더 소독을 해야하는지


아니면 모든방 청소 후 씻고 나서 화장실을 소독해야 하는지


그것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일단 격리를 시행한 방에 대해 격리 해제 후 48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소독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경우, 습한 환경에 있지 않은 일반적인 식기나

    침구류에서는 48시간 이상 생존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알코올이나 세정제

    에도 바이러스는 쉽게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독을 하기 위해 락스를 사용하거나

    자극적인 소독약을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침구류의 경우, 일반 세제로도 쉽게

    바이러스는 제거가 가능합니다. 세제나 세정제, 알코올의 소독력은 항바이러스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하지만 문제는 이것을 사람에게 직접 사용할 수 없어 항바이러스

    제제를 개발하는 이유가 됩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걸려서 격리를 하게 되어 7일이 경과하면 애초에 전염력이 거의 없는 수준이 되며 주변의 환경에도 전염을 일으킬만한 바이러스가 살아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독 자체가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소독을 하시겠다면 정해진 법칙이나 규칙 등이 따로 없으며 그냥 하고싶으신 대로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