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덕망있는문어88
덕망있는문어88

림프부종치료가가능할까요?알고싶어요

성별
여성
나이대
53
기저질환
림프부종
복용중인 약
없음

림프부종으로12년째.입니다. 수술로. 해결될수있을까요?수술은 가능할까요?가능하면수술가능성을 알고싶은데 어떻게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림프부종 치료는 최대한 빠른 시작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팔을 심장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팔을 오랫동안 높이 들고 있기 어려운 경우에는 스펀지나 탄력 붕대를 활용하여 팔을 받치거나 기둥에 걸어둘 수 있습니다.

      림프부종의 치료에는 팔을 압박하는 팔소매나 탄력 소매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마사지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팔을 높이 들거나 운동을 해도 림프부종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전문의와 상담을 진행한 후 의료기 업체에서 탄력 소매를 구매하여 착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림프부종이 심한 경우, 약물 치료로 벤조피렌(benzopyrene)과 같은 약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 치료는 전문의의 상담과 처방이 필요합니다.

      림프부종의 경과는 주로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질병이 진행된 환자로, 유방암이 겨드랑이 림프절까지 전이된 경우입니다. 이때 림프절 제거가 많이 이루어지면 림프부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두 번째는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로, 방사선 치료 후 림프관 막힘 증세로 림프부종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는 어느 정도의 림프부종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수해야 합니다.

      수술 받은 쪽의 팔을 외부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손상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주사, 채혈, 혈압 측정은 건강한 팔에서 시행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으며, 상처가 생기면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림프부종을 예방하려면 균형 잡힌 저염식과 고섬유식을 유지하고, 건강한 체중을 유지해야 합니다.

      약제나 생활습관관리로도 심해진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림프부종의 수술적 치료에는 세 가지 주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수술 방법은 환자의 임상 증상 및 림프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됩니다. 수술은 한 가지 종류만으로 처리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수술 방법이 동시에 시행될 수도 있습니다.

      1. 림프관 – 정맥문합술: 이 수술은 림프검사와 환자의 임상 증상을 고려하여 림프관의 기능이 아직 남아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고려됩니다. 림프관의 기능이 확인된다면, 직경이 0.7mm 미만인 피부 밑 림프관을 미세수술적 방법으로 정맥에 연결하여 림프 순환을 개선하는 수술입니다.

      2. 림프절 이식술: 림프관 – 정맥문합술 후에도 효과가 없거나 림프관이 존재하지 않거나 기능하지 않는 경우, 림프절 이식술이 고려됩니다. 이 방법은 정상적인 림프절을 다른 부위에서 채취하여 부종이 있는 부위에 이식하는 것으로, 림프순환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3. 지방 흡입술: 이 방법은 부종 자체를 감소시키는 수술로, 림프부종을 억제하거나 기능적으로 줄이는 것보다는 부종의 크기를 줄이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방법은 아니며, 림프부종이 섬유화로 심해진 경우에 고려됩니다.

      수술 후의 경과는 환자의 상태와 수술 방법에 따라 다양합니다. 일부 환자는 림프관 – 정맥문합술 후 부종 완화를 경험하며, 다른 환자들은 통증 및 무거운 느낌 등의 증상 개선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술 후에도 효과를 경험하지 못하는 환자들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수술 옵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수술 후에는 압박 치료가 계속되며 환자의 상태가 지속적으로 관찰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