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대기의 중간권에서 기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기를 구성하는 것 중 하나인

중간권에서는 기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는데

중간권에서 기상현상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80km정도의 높이면 상당히 높게 느껴지고

구름도 존재한다는데

중간권에서는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중간권에서 기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간권은 대기의 상층부로서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영역입니다. 이로 인해 대기의 상승 기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기상현상은 대기의 상승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데, 중간권에서는 상승 기류가 부족하기 때문에 기상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상승 기류가 부족하면 대기의 수증기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하고 대기 중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구름이 형성되지 않고, 구름이 형성되지 않으면 강수 현상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중간권에서는 대기의 압력이 낮아서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대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로 인해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중간권에서는 태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태양의 열은 대기의 하층부에서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중간권에서는 태양의 열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대기의 온도 변화가 크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기상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중간권에서는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약간의 기상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대기의 상층부에는 약간의 수증기가 존재하고, 이 수증기가 얼어서 얇은 구름을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대기의 상층부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중간권의 기온은 높이가 올라갈수록 낮아져서, 80km의 고도에서는 약 -60℃입니다. 기온이 낮으면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공기의 운동이 활발해지지 못합니다. 따라서, 대류나 기류가 형성되지 못하고, 구름이 생기거나 비가 내리는 등의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중간권에는 대류권에 비해 수증기가 적습니다. 대류권에서는 지표면의 열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수증기를 더 많이 포함하게 됩니다. 반면에, 중간권에서는 공기가 가열되지 않고, 따라서 수증기도 적습니다. 수증기가 적으면 구름이 생기거나 비가 내리는 등의 기상현상이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의 중간권은 대략 20 ~ 50km 정도의 고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은 상당히 건조하고 안정적인 대기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안정성은 대기 중 물의 증발과 응축이 균형을 이루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대기 중 물은 증발과 응축이 반복되는 수소순환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수증기의 농도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대기 중 이동하면서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러나 대기의 중간권은 수증기의 농도가 매우 낮아서 이러한 구름이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상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대기의 중간권은 태양 복사가 직접적으로 받지만, 이 고도에서는 대기가 상대적으로 얇아져서 태양 복사의 흡수와 반사가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안정적인 대기 조건 때문에 기상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이곳에서는 윗쪽이 온도가 높고 아래쪽이 낮아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대기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안정된 대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상현상은 구름, 눈, 비, 우박 등의 현상을 말합니다. 기상현상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수증기가 필요합니다. 대류권에서는 상층과 하층의 기온이 역전되어 있어서 대류가 빌생해 수증기가 전체 대류권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대류권과 중간권 사이에 있는 성층권이 매우 안정한 상태여서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수증기가 중간권까지 올라가지 못합니다. 따라서 중간권도 대류권과 마찬가지로 대류현상은 일어나지만 기상현상은 일어나지 않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상현상은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어야 함니다. 지표면에서 가까운 대류권은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어 기상현상이 일어나지만 중간권은 수증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