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 중개사의 가장 비수기는 언제 인가요?
모든 일에는 성수기가 있고 비수기가 있는데요
이렇게 공인중개사 같은경우는 항상 이사를 가고 오고 매매를 하기 때문에 비수기가 없을것 같은데 언제가
비수기 인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인중개사도 결국은 부동산 거래량의 따라 성수기 비수기가 나누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사가 가장 활발한 1~3월까지가 성수기이고 11월~연말까지가 통상 계절적 비수기로 볼수 있습니다. 특히나 최근 1년간은 고금리와 경기침체등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자체가 침체되면서 성수가, 비수기 할것없이 거래건수가 급감하였고, 다시 회복될 기미가 보이던 서울, 수도권 아파트거래등도 대출규제로 인해 다시 소강되는 분위기로 이어지면서 휴,폐업하는 중개사무소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인중개사의 비수기는 여름과 겨울입니다. 보통 봄과 가을에는 자녀 학교 때문에라도 주소를 이전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여름과 겨울에는 이사가 어렵기도 하고 굳이 이사를 할 유인이 없기 때문에 부동산 거래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은 특별히 비수기는 없는데 너무덥거나 추울때는 이사를 덜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날씨보다 정부정책으로 인한 경우가 비수기가 길어지기도 합니다
요즘처럼 경기가 안좋고 대출한도규제를 할때가 비수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인중개사의 비수기는 한 여름과 한 겨울입니다.
너무 더운 여름과 너무 추운 겨울에 사람들이 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비수기에 속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인중개사의 경우 우리나라 부동산 정책이나 금리, 대출규제등에 의해서 거래가 조정이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계절적으로 볼때는 겨울은 이사나 거래가 줄어드는 시기이고 특히, 날씨가 추워지고 연말연시가 되면 사람들이 이사나 매매를 미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설날이나 추석 등 명절을 전후로도 거래가 잠시 주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