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귀여운대벌래87
귀여운대벌래87

앞으로 10년안에 부동산은 어떻게될까요?

시골은 사람이 점점줄고...도시화로 양극화가 더 치닫는거같은데

한정된땅에서 가격이 더 오를까요? 아니면 외곽으로 빠지면서 거품이 빠지게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부동산은 10년 주기로 상승과 반복을 하락하면서 결국 우상향합니다.

    지금은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규제, 대출 규제등으로 부동산 침체기이지만, 향후 금리가 인하하고 정부의 규제가 완화되면 다시금 부동산 상승기는 오겠지만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리라 예상합니다. 사람이 몰리는 수도권은 더 많은 상승이

    사람이 없는 지방은 소폭 상승되리라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여러가지 변수에 의해서 움직이므로 향후 예측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사항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큰 정책의 변화나 외부 요인이 없다면 현재와 같은 양극화가 앞으로 더 심해질 것 같습니다. 서울지역의 출생률이 낮더라도 지방의 젊은이들이 직업등을 찾아 수도권으로 올라오고 부동산의 특성상 집을 이동시킬 수는 없어 강남같이 살기 좋은 곳을 찾는 수요는 계속 있을 것이므로 주요지역의 집값은 계속 비싸게 유지되거나 상승할 것이고 상대적으로 지방에는 인구감소로 인기지역외에는 공실도 늘어나고 인프라도 줄어들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과 유사하게 폐공가 문제도 점점 커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10년후에는 인구감소가 시장에도 영향을 실제 줄수 있는 시점이기 때문에 주택가격의 변동성이 커지지는 않을듯 보입니다. 즉 수요감소에 따른 가격상승에 제한이 있을수 있습니다. 다만 주택 양극화는 현재보다 더 심해질수 있기에 입지가 좋고 수요가 몰리는 지역은 더욱더 가치가 상승될것이고 반대로 수요가 더 감소하는 지역등은 점차 쇠퇴되어 주택가격도 하락을 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또한 평형에 따라서도 가격변동 차이가 있을듯 보이며, 대표적으로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23평(전용84제곱)의 경우 세대변화에 따라 그 수요가 즐어 인기가 감소하고 전용59, 69제곱등의 1,2인가구중심의 주택 수요가 더 늘어날수 있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2035년까지 서울의 1~2인 가구수 증가로 인한 거주주택이 지속적으로 부족 할 것이라 예상된 뉴스를 보았으며 수요로 인해 꾸준히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과 하락 예측하는 건 어렵습니다.

    하지만 계속되는 국제 정세 악화와 양적완화(돈풀기)가 지속 될 것 같기에 상승쪽이 무게를 두고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저출산으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는 젊은층의 인구가 많이 부족할 것입니다.

    인구가 줄어들기에 수요가 적어집니다. 인구의 변동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 주택공급을 점점 줄여 나갈 것입니다. 수요 공급 법칙에 의해 수요가 줄어들고 공급도 줄여서 가격은 내려갑니다. 그래서 부동산가격이 내려간다라는 결론이 나오지만 단순하게 인구만으로 보면 안 되고 금리의 변동, 경제 등의 요인으로 부동산경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들 예측하는 것이 서울경기 중심비, 대도시의 중심부는 부동산 가격의 변동 폭이 클것으로 보고 외곽은 부동산 가격 변동 폭이 적을 것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어떤 정책적 변화가 올지 모르겠지만 요몇년동안은 서울지역은 오를거 같습니다

    우선 여러가지 여건때문에 공급을 많이못해서 지금도 오르고 있는 상태입니다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수도권은 그런대로 공급을 많이 해서 유지가 되거나 오르겠지만 지방의 소도시들이 문제가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직까지는 지금의 부동산 가격을 받쳐주는 수요자들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방 소도시부터 빈집들이 나오거나 기업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일단 서울 경기권의 경우 아직은 인구 유입이라든지 기업등이 있기때문에 지방과 수도권의 격차가 있을 수 있겠지만 지방이라 하더라도 광역시 대장지역의 경우에는 괜찮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골은 사람이 점점줄고...도시화로 양극화가 더 치닫는거같은데

    한정된땅에서 가격이 더 오를까요? 아니면 외곽으로 빠지면서 거품이 빠지게될까요?

    ==> 10년 후 부동산 가격현황으로 대도시 중심으로 선호지역은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그렇지 않는 시골 등은 가격이 하락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