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Panda
Panda

러브버그는 외래종인가요? 해충은 아닌가요?

요새 러브버그가 너무 많이 날라다녀서 너무 불편한데요.

옛날에는 많이 안보였는데 기후변화로 인한 외래종이 출현된건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얘네들은 해충인가요? 익충인가요? 아무리 봐도 해충으로 느껴져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러브버그가 외래종인지, 해충인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러브버그가 미국의 털파리 종인 '플리시아 니악티카'와 유전적으로 유사하다고 주장하며, 외래종일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과거에는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량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러브버그는 사람을 물지 않고, 농작물에도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히려 애벌레 단계에서는 낙엽 분해를 통해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성충 단계에서는 꽃의 수분을 돕는 등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익충으로 분류됩니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러브버그의 유전자 분석을 진행 중이며, 외래종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러브버그가 급격히 증가한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꼽고 있습니다.

    대량 발생에도 불구하고, 러브버그는 인체나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아, 무분별한 방제보다는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역할과 특성을 고려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러브버그는 비교적 최근에 미기록종으로 등록되었기 때문에

    해외에서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정확한 유입경로는 알 수 없지만 보통 배를 통해 많은 생물이 유입되므로 인천항을 통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아마 유입은 더 오래전에 되었겠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대량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수가 많아서 징그러워 보이지만, 물지 않고 독도 없어서 해충은 아니라고 합니다.

    썩은 식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오히려 생태계에 득이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보통 유충으로 1년정도 살고 성충이되어 1주일정도 생존하며 짝짓기를 하고 죽기 때문에

    이런 대량 발생은 1~2주 정도 지속됩니다.

  • 러브버그는 원래 북아메리카 남동부와 멕시코만 지역이 원산지라고 합니다. 최근 개체수가 많아 보이는 이유는 짧은 생존 시기 동안 짝짓기를 위해 개체들이 몰려다니기 때문인데요 수컷은 3~5일 동안, 암컷은 일주일 동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사람 입장에서 보기에는 징그러울 수 있으나 생태계에서는 해충이 아니라 익충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질병을 매개하지 않으며 생태계를 교란하지도 않고, 유충은 낙엽을 분해해 토양을 비옥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러브버그는 미국에서 발생한 파리의 외래종이며 해충은 아닙니다. 인체에 무해합니다. 감사합니다.

  • 러브버그(무당벌레과의 일종)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토종 곤충으로, 외래종이 아닙니다. 다만, 최근 들어 개체 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와 서식지 변화 때문일 수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진딧물이나 응애 등을 잡아먹는 익충으로 분류되며,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성충 상태에서는 꽃가루와 화밀을 먹이로 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집안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러브버그의 개체 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과도하게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생태계 균형을 깨뜨릴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러브버그는 외래종으로 분류됩니다. 러브버그는 원래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던 종이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세계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가면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러브버그가 식물을 해충으로 공격하여 식생활을 파괴하는 특성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 러브버그라고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는 국내에서는 미기록종으로 등록된 외래종이 맞습니다.

    붉은등우단털파리는 독성도 없고, 인간을 공격하지도 않으며, 질병을 옮기지 않아 해충이 아닙니다. 오히려 진드기를 박멸하고, 낙엽을 분해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익충으로 간주됩니다.

    감사합니다.

  • 러브버그는 미국 남부 지역, 특히 플로리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으로 자연 발생 종입니다. 러브버그는 특히 봄과 가을에 쌍으로 날아다니며 짝짓기를 하는 모습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때로는 갑자기 불어난 개체가 차량유리 등에 밀집되어 해충처럼 인식되기도 하는데 이들은 해충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식물을 해치지 않으며 주로 공기중에 떠다니는 꽃가루나 식물의 즙을 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