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복복어 가독을 모으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복어는 독을 모은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복어 가독을 모으는 건 어떤 원리인지, 그것이 궁금하네요. 몸속 어딘가에 모으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복어는 몸속에서 독을 만들어내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주로 껍질이나 위, 장, 난소, 간 등의 내장에 주로 독이 많이있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복어독은 복어 스스로 만들어내는 물질이 아니라

      비브리오속, 슈도모나스속의 해수세균이 테트로도톡신을 생성해서 복어몸속에 축적되는 원리입니다

      즉 이 비브리오속, 슈도모나스속과 같은 세균이 1차 생산자이며

      복어 몸속에 축적해서 세균이 축적하여 독이 쌓이고 농축되는 원리입니다

      테트로도톡식은Hydroxyquinazolin구조를 가지고 있는

      분자량이 319의 약염기성, 비단백성 물질입니다

      테트로도톡신은 맹독성물질로서 성인에 대한 치사량이 1~2mg으로 추정되고

      무색, 무미, 무취 : 색깔, 냄새, 맛으로도 구별할 수 없습니다

      복어독은 복어종류에 따라 독성이 다릅니다

      수컷보다는 암컷이 독성이 더 강하고 양식산 보다는 자연산이 독성이 강합니다

      테트로도톡식은 열에 강해 120도로 1시간 이상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습니다

      복어독을 모으는 원리는..

      독의 물질은 테트로도톡신이의 생산자는 비브리오 알리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등의

      해양 세균을 플랑크톤이 먹고이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먹이사슬과정에서

      독이 있는 불가사리나 납작벌레등 독이 있는 갑각류를 먹으면서 독이 저장되어 생기는데

      무독성인 먹이를 먹고 양식된 복어에게는 독이 없지만

      복어의 독은 몸에서 생성이 되는 것이 아니라 독이 있는 먹이를 먹어서

      그 먹이의 독이 체내에 축척되어 생긴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복어의 독은 복어의 먹이로부터 기인합니다.

      식물성 플라크톤을 먹는데 그곳에서 독성분을 모아 천적을 피하는 방식으로 진화해왔습니다.

      복어의 살을 제외한 다른 내장기관에 모두 독이 존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