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한시는 한자로 쓰였는데 우리나라 문학인가요?

안녕하세요?한 민족의 문학은 그 민족에 속한 사람이 그 민족의 사상과 이념, 또는 정서를 그 민족의 언어로 표현해야 하는게 우리문학인데요~ 근데 한시는 한자로 쓰였는데 우리나라 문학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민족의 문학의 경계가 어디까인가에 대한 학자들의 토론은 매우 오랜기간 동안 계속되어져 왔습니다. 특히 삼국시대 시기부터 우리말을 한자를 표기도구로 빌려와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한국문학의 범위를 어디까지 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더욱 깊어졌습니다.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이후 국문문학(한글문학)만을 한국문학으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에서 부터 우리 민족이 지은 문학작품이라면 표기문자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의견까지 다양한 주장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해외에 거주하는 우리 동포들의 문학작품까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복잡한 주장들이 더하여 지고 있습니다.

    수많은 토론 끝에 많은 학자들이 인정하는 기준은 포괄적으로 한민족의 삶과, 정신이 드러난 작품들 즉 우리 민족의 은근과 끈기, 한의 정서가 표현된 작품들을 한국문학으로 인정한다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한국문학은 한국인이 한국의 언어로 한국적 사상과 감정을 예술적 형식으로 나타난 문학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인은 한민족과 해외동포를 포함하고 한국의 언어에는 한문과 한글을 포함하게 됩니다. 한문은 조선시대 한글창제 전까지 유일하게 문학작품을 쓸 수 있는 글자였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문, 한글 모두를 사용하지 못하고 입말로 전해진 문학도 한국문학의 범주에 포함합니다. 그래서 구비문학(입말문학), 차자문학(한자를 빌려와서 만든 문학, 향가 등), 한문문학(한자로 표현한 문학), 국문문학(한글문학) 등을 포함한 개념이 한국문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문학의 형태는 여러가지 입니다.

    하지만 문학이 작품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문자로 표기되어야 합니다.

    당시는 한자문화권이 더욱 강했기 때문에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 일본, 베트남 등에서 한시가 많이 지어졌습니다.

    한자로 표기되었지만 그 정서는 우리 민족의 것이기 때문에 당시 글자가 없었던 우리로서는 한자로 표기되었다고 하더라도 우리 사상과 정서, 이념이 담겨져있는 우리 문학이 맞습니다.

    훈민정음 반포 이후 사대부층에서는 한글을 꺼려한 부분도 있었지만, 그것은 그들이 중국의 성리학을 받들었기에 그랬던 깃이고, 평민들과 여인들 사이에서는 한글이 널리 퍼져 한글로 시조나 시가가 많이 지어졌습니다.

  • 물론 우리 문학 입니다. 한문학은 중국의 문자인 한자로 기록된 문학양식 입니다. 한글이라는 고유의 문자가 없을 때는 물론이고 한글 창제 후에도 조선시대의 양반을 중심으로 중국의 문자와 문학형식을 빌려 많은 작품을 만들었기에 우리 문학의 일부로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