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세심한테리어2
세심한테리어223.11.23

탄산음료는 액체속에 이산화탄소를 녹인것인데 흔들면 다시 빠져나오는걸까요?

탄산음료가 만들어지는 원리는 물 속에 높은 압력으로 이산화탄소를 녹여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흔들면 이산화탄소가 다시 빠져나오는것에 궁금증이 생깁니다. 이미 녹인상태가 다시 빠져나오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는 물 속에 높은 압력으로 이산화탄소를 녹여서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액체 속에 녹아 탄산이 되어 음료가 만들어집니다. 이산화탄소가 이미 녹여진 상태에서 다시 빠져나오는 것은 이산화탄소 분자가 액체 속에서 더 이상 용해되지 않고 공기 중으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흔들면 다시 빠져나오는 것은 이산화탄소 분자가 액체 속에서 더 이상 용해되지 않고 공기 중으로 나오는 것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3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도에 따라서 액체 녹일 수 있는 이산화탄소량은 달라지는데, 보통 물의 경우 온도가 올라가면 물에 녹일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점점 감소하게 되어 기체로 다시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사이다 같은 경우 실온에 꺼내 놓으면 점점 온도가 오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다시 튀어나오게 됩니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액체 속에 고압으로 굉장히 불안정하게 억지로 녹여놓은 상태입니다.


    즉, 억지로 밀어 넣어 들어가 있는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약간의 외력만 가해도 즉시 튀어나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이 물에 녹긴 하지만 물어 녹아 생성된 탄산 가스는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공기중으로 날아갑니다.

    그리고 탄산이 녹기는 하나 한계가 있고 일반적으로 탄산 음료는 과포화 상태인것입니다.

    그래서 오픈함과 동시에 탄산이 빠져나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