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한가한듀공86
한가한듀공86

직장인의 매년 급여는 최저 인상율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나요??

직장인의 매년 급여 최저 인상율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는건가요??급여를 매년 안올리고 동결하게 되면

의욕이 안생길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근로자의 임금인상률에 대하여 노동관계법령 상 별도로 정하고 있는 바는 없습니다.

      이는 당사자간 합의 내지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으로 정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국가는 최저임금에 미달하지 않는 한 임금수준에 대해 규제하지 않으므로 임금인상률에 대해 법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최저임금은 법적으로 매년 정해지지만 최저임금을 상회하는 일반 직장인의 최저 인상률은 법적으로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 따라서 임금 동결도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법으로는 최저임금 외에는 임금 인상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

      답변 도움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직장인의 급여 인상률은 법으로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 최저임금 위반만 아니면 임금을 계속 동결해도 위법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급여 인상률은 회사에서 별도로 정하고 있지 않는 한, 사용자가 재량적으로 정할 수 있는 부분이며 최저임금에 미달하지 않는 한, 매년 임금을 인상해 줄 의무도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갑열 노무사입니다.

      연봉협상, 급여인상과 관련하여 노동관계법령상 정해진 사항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최저임금 이상으로 지급한다면, 급여인상을 하지 않아도 법적으로는 문제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법은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지급만을 강제하고 있습니다. 일단 회사에서는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고 있다면 이외의 인상에

      대해서는 회사와 근로자가 자유롭게 협의하여 정할 수 있습니다.(법으로 강제되는 사항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