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든든한안경곰28
든든한안경곰2823.07.09

까마귀는 어떠한 이유로 불행의 아이콘이 되었나요?

어른들이 까마귀를 볼 때마다 불행의 아이콘이라고 재수없다고 그러는데

어떠한 이유 때문에 불행의 아이콘이 되어버린것인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현명한백로33입니다.

    1. 검은 도구로 인한 외모: 까마귀는 흑갈색깔의 깃털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통해 죽음과 어둠과 연결짓거나 불행의 상징으로 해석하는 전설들이 있습니다.

    2. 청소부로서의 역할: 까마귀는 도시와 농촌에서 죽은 동물의 시체나 쓰레기를 먹는 청소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 때문에 까마귀는 죽음과 부패와 관련된 이미지를 갖게 되었습니다.

    3. 적대적인 행동: 까마귀는 종종 다른 새의 둥지를 습격하거나 작은 동물을 먹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까마귀를 악랄하거나 불행한 존재로 여기는 이야기를 만들어냈습니다.

    4. 문화적 영향: 까마귀는 유럽 문화에서 흔히 사용되는 상징 중 하나입니다. 그들은 흑마법이나 마녀와 관련된 이야기에서 등장하며, 이는 까마귀가 불행과 악에 대한 상징으로 여겨지게 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둥이를찬양하자입니다.


    고조선 때까지만해도 삼족오 라고 불리며

    길조와 동시에 신령한 새 였다고 합니다


    까마귀는 안 좋은 일을 가장 먼저 알려서 피하라고 울어대는 건데, 수. 당 시절 고구려 국조가 까마귀인데다 실제 검은 까마귀들이 시체를 파먹으면서, 까악 까악 하고 울어대는 모습이 음산하고 괴기스럽게 보이며 , 까마귀는 잡식성이라 아무거나 먹은 건데 수.당 시절에 까치는 길조, 까마귀는 흉조라는 인식이 생기게 됩니다

    고구려가 멸망한 후, 신라에서 중국의 풍습을 받아들이는데, 까마귀를 싫어했던 수. 당 시절의 풍습까지 같이 받아들이게됨


    길조였다가 흉조였다가, 계속 변하는데 일제 강점기 시절에 급격한 개화를 겪으면서, 수.당 시절에 굳어진 흉조로 여기는 습성과 청나라의 지배를 받으면서 청나라가 싫으니 청나라의 국조인 까마귀도 싫다는 그런 반감,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의해 흉조로 굳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