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1.07

충청도는 왜 남북으로 구분되지 않는데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나뉘었나요?

충청도 지도를 보면 충청남도와 충청북도가 좌우(동서)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충청북도가 아주 조금 북쪽에 있는 부분이 있기는 합니다만 남도와 북도로 나누기에는 구분이 애매한 것 같아요. 충청도는 왜 남북으로 구분되지 않는데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나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충청도라는 표현은 고려시대에 나왔습니다. 당시에는 평택을 포함한 경기 남부 모두를 포괄하고 있었습니다. 현재 충북 영동과 보은은 상주에 속해 있었습니다. 말하자면 경상도 권역이었습니다. 그러니 지금의 동서보다는 남북의 형태를 갖추고 있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충청도가 지금과 같은 행정구역은 조선 초에 확정됩니다. 물론 이름은 충청도입니다. 그리고 남과 북으로 확정된 것은 1896년입니다. 당시 지방체제를 개혁할 때 동서의 개념 없이 남북의 개념만 갖고 왔습니다. 즉 다른 도를 남북으로 나눈 것과 맞추기 위해 충청북도, 충청남도로 나눈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충청도의 역사는 조선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충청도는 지금의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뿐만 아니라, 황해도의 일부 지역까지 포함하는 광대한 영역을 가졌습니다. 이러한 넓은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분할이 필요했고,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조정을 거쳐 현재의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나누어지게 되었습니다.

    지리적 위치와 행정 구역 분할의 의미

    지리적으로 볼 때 충청도는 동서로 길게 뻗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행정 구역을 남북으로 나눈 것은 여러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1. 행정적 효율성: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지형적 특성을 고려할 때, 남북으로 나누어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이는 행정 구역의 크기와 인구 분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결정이었습니다.

    2. 역사적 배경: 충청도 내의 주요 도시들과 인구 분포, 경제 활동 등이 남북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경제적 구조를 반영하여 남북으로 나누는 것이 자연스러운 선택이었습니다.

    3. 문화적, 경제적 다양성: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는 각각 다른 문화적, 경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충청남도는 서해안에 접해 있어 해양 문화와 경제가 발달한 반면, 충청북도는 내륙 지방으로 농업과 내륙 교통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해왔습니다.

      출처 : https://towlqwntpdy.tistory.com/38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