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태영일공팔
태영일공팔22.10.05

모든제품은 유효기간이 있는걸로 아는데 꿀의 유효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제품마다 제조일과 유통기간이 표시되어 있는데

사양꿀을 구매하고보니 유통기간이 표시되어 있지않아서 물어보니 크게 상관없다고하고 숙성되면 될수록 좋다고 하던사람들도 있는데 어떤말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숙련된자라287입니다.

    꿀!! 유통기한이 따로 없다고 봐도 됩니다 보관을 잘하시면요

    꿀을 숟가락이나 국자등을 이용해서 뜨다가

    사람의 침이 묻게 되면 아밀라아제 때문에

    꿀 효능이 떨어지게 되요

    그리고 플라스틱 스푼이나 국자를

    이용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위대한거북이239입니다.

    일반적으로 꿀의 유통기한은 2년으로 보고 있습니다.

    가끔 꿀의 결정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변질이 된 것이 아니라 수분이 증발해서 생긴 것인 물리적 변화이므로 드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대담한칠면조172입니다.

    모든제품들은 유통기한이 있지만.유통기한이 없는제품들도 있어요 그중하나가 꿀입니다. 오래둬도 괜찮아요 안심하시고 드세요


  • 안녕하세요. 영리한레오파드12입니다.

    순수한 꿀은 저장기간이 오래되어도 변하지 않습니다. 꿀은 특유의 살균작용 때문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자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천연꿀의 경우 유통기한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벌꿀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통기한을 2년으로 많이 정하고 있으나 현행법상으로는 업체 자율로 정하도록 되어 있어서 유통기한이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꿀에 다른 식품을 첨가해서 보관하는 경우(예: 인삼이나 마늘 등을 재서 보관)에는 첨가된 다른 식품으로 인해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통기한의 설정방법(식약처 고시 ‘식품, 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설정기준’)에 따르면 유통기한의 설정방법은 포장재질, 보존조건, 제조방법, 원료배합비율 등 제품의 특성과 냉장 또는 냉동보존 등 기타 유통실정을 고려하여 위해방지와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유통기간 설정을 위한 실험(이하 “유통기간 설정실험”)을 실시하고, 설정된 “유통기간” 내에서 실제 유통조건을 고려하여 제품의 유통 중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유통기한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통기한 설정주체인 영업자가 위의 유통기간 설정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근거로 일반적인 기준인 2년보다 더 길게 유통기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꿀의 보관은 실온에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된 꿀일수록 수분이 증발되어 농도가 진해지며 이에 따라 색깔이 짙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외형상의 이런 변화때문에 오래된 꿀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데 너무 오래되지 않았다면 먹는데 상관없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www.ekape.or.kr)이나 축산유통정보(www.ekapepia.com)를 방문하시면 축산관련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상기 답변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