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숙련된집게벌레260
숙련된집게벌레260

고관절통증으로 통증의학과 진료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60
기저질환
고혈압

저희 아빠가 고관절에 통증이 계속 지속되시는 것 같아요. 그래서 통증의학과를 가는게 맞나요? 정형외과인가요? 아님어디과를 가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고관절 통증이 지속되신다면 일단 정형외과가셔서 사진 찍어보시고 진료 받아보시는것이 낫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통증의학과에서 통증조절을 하기는 하지만, 당연히 처음에는 정확한 검사 및 진단을 받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정형외과에서 검사를 해보고 특별한 문제가 없는데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통증의학과 진료를 그 때 하는게 좋을거 같네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정형외과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고관절, 즉 엉덩이관절은 우리 몸의 체중을 지탱하고 걷거나 뛰는 등의 다리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입니다. 고관절은 두터운 관절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볼과 소켓 형태로 운동 범위가 크고 안정적인 관절입니다. 하지만 외부의 압력을 받게 되면 관절이 탈구되거나 관절 주위에 골절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고관절 질환이 있으면 걷거나 뛰는 행위에 지장이 있어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허리나 무릎의 통증을 유발하여 척추나 무릎 문제로 오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관절 질환의 경우 고관절을 움직이거나 양반다리를 했을 때 사타구니 부위, 즉 고관절 앞쪽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특히 양반다리를 할 때 통증이 있거나 엉덩이가 뻐근하다면 고관절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고관절 질환은 매우 다양합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골조직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고관절 상단부인 대퇴골두의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뼈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20~50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대에서 발생하며,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나 음주나 스테로이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질환이 진행되면서 움직이거나 양반다리를 할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허리통증이나 엉덩이, 다리의 통증이 함께 나타날 수 있어 척추 질환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퇴행성 고관절염은 노화나 과체중으로 인해 고관절이 마모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며 걷거나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은 관절구를 둘러싸는 관절낭이 대사성질환이나 내분비 질환으로 인해 신축성이 떨어져 대퇴골두와 연골이 붙어 유착되는 질환으로, 흔히 말하는 어깨에 생기는 오십견이 고관절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고관절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며, 양반다리를 할 때 통증이 있고 다리를 굽히기 어렵고 고관절이 뻣뻣해져 걷기가 어렵습니다. 초기에는 쉽게 파악하기 어렵고, MRI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약물이나 운동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고관절 충돌 증후군은 비구와 대퇴골이 서로 부딪혀 비구순이 찢어져 통증이 발생하며, 자세를 바꾸거나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통증이 생깁니다. 이 경우 자세 교정과 운동으로 엉덩이와 고관절 근육을 강화하는 방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일단은 원인을 확인해야 하기 떄문에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주시면 됩니다

    이후 원인을 확인하고 나면 그에 대한 치료는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내과

    어디서든지 받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우선 통증의 원인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치료계획이 우선시되어야 할것으로 보이며, 추후 통증에 대한 지속적 관리가 요할떄 통증의학과를 내원해보는 것이 더 개인적으론 적절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고관절 통증의 경우 정형외과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정형외과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통증의학과는 주로 만성 통증 관리에 특화되어 있어, 초기 진단에는 정형외과가 더 적합합니다. 정형외과 진료 후 필요하다면 통증의학과 협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통증이라면 빠른 시일 내에 정형외과 진료를 받으시길 권합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두 과 모두 진료 가능한 영역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진단의 커버리지를 봤을땐 정형외과 진료가 더 좋을것 같고, 이미 진단이 되었고 주사치료 등 세밀한 주사 치료를 잘하는 통증의학과가 있다면 그쪽 진료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고관절 통증 진료과에 대해 질문 주셨네요.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모두 진료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