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강직한꿩279
강직한꿩279

중국이 일대일로를 추진하는 경제적 이유가 있나요?

중국은 일대일로라면서 되도 안한 중국 중심으로 경제망 구축하겠답시고

일대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었잖아요

이걸 추진하는 경제적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수한 관세사입니다.

    중국의 일대일로는 단순한 인프라 수출이 아니라, 경제적, 전략적, 지정학적 계산이 철저히 깔린 초대형 프로젝트입니다. 중국은 2000년대 이후 엄청난 인프라를 건설하며, 철강, 시멘트 기계, 전력설비 등의 공급 능력이 지나치게 성장을 했습니다. 하지만, 내수 수요는 한계에 도달했고, 남은 건 수출 뿐이었습니다. 즉, 일대일로는 중국의 잉여 인프라 자원을 다른 나라로 수출해주는 출구 전략이었습니다.

    중국은 수출 주도형 경제입니다. 그런데 미국, EU 등 전통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고, 미국과는 무역 분쟁도 겪고 있죠. 그래서 일대일로를 통해 중앙아시아, 동남아, 아프리카, 유럽까지 육상 및 해상 무역 루트를 구축해 새로운 시장과 경로를 확보하고자 한 것입니다.

    일대일로 참여국들과의 인프라 사업에서 중국 금융기관이 대출을 해주고, 위안화 결제를 확대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미국 달러 중심의 세계 금융 질서에 도전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입니다.

    또한 정체된 내수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국유기업, 통신사, 건설사, 금융사 등이 해외 인프라에 진출하면서 글로벌 시장 경험을 쌓고 기술을 고도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려는 목적도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내륙 지역 개발과 지역 불균형 해소 목적도 있습니다. 중국은 동부 연안은 잘 살지만, 내륙은 매우 낙후된 구조인데요. 일대일로의 육상 루트는 대부분 중국 내륙에서 시작됩니다. 따라서, 내륙 지역을 유라시아 육상 교역의 거점으로 만들고, 지역 균형 발전을 유도하는 경제 전략이기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중국의 일대일로 추진 정책은 결국 신흥시장개척, 안정적인 자원확보, 국내 과잉생산 문제 해결 등을 목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의 경쟁을 통해 글로벌 경제에서 주도권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중국은 오랜 기간 고도성장을 지속해오면서 내부적으로 과잉 생산 문제와 성장 둔화라는 벽에 부딪혔습니다. 철강, 시멘트, 기계, 에너지, 인프라 건설 등에서 엄청난 공급 능력을 갖추게 되었지만, 이를 흡수할 내수 수요는 점점 줄어들고 있었죠. 이에 따라 중국은 해외로 눈을 돌려 이러한 자국 산업의 잉여 생산력을 외부로 수출하기 위한 돌파구가 필요했고 일대일로가 그 방편으로 사용 되었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이 사업은 단순한 국외 투자 확장이 아니라 내부 생산과 자본의 출구 확보 전략에 가깝습니다. 중국은 제조 중심의 경제 구조를 유지하면서, 국내 수요만으로는 감당이 안 되는 과잉 생산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이를 바깥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인프라 투자입니다. 철도, 항만,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을 외국에 지어주면서 자국의 건설업, 철강업, 기계 산업 등 전통 제조 부문에 계속 물량을 주입하는 구조입니다.

    또 하나는 위안화 국제화입니다. 해당 국가들과의 거래를 통해 달러 의존도를 줄이고, 위안화를 결제 수단으로 끼워 넣으려는 의도도 분명히 보입니다. 결국 수출 구조를 유지하면서 주변 국가들과의 경제적 영향력을 키우는 수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